방어진공원에 울산공업학원 제2캠퍼스 건립 계획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공원 부지에 전문대학을 짓도록 허용하느냐 마느냐' 울산전문대 학교법인인 울산공업학원 (이사장 鄭夢俊의원) 이 울산동구의 방어진공원에 제2캠퍼스를 건립하려는 계획을 둘러 싼 논란이 다시 뜨거워지고 있다.

학원측이 지난달 13일 울산시의회에 낸 '공원부지 용도변경 청원' 에 대한 도시경제위원회의 심의가 8일부터 시작됐기 때문이다.

학원측이 제2캠퍼스를 세우려는 곳은 울산시동구화정동 방어진공원 (2백50만평) 중 4만5천여평으로 이 가운데 1만8천여평은 학원이사장 鄭의원이 고문으로 있는 현대중공업 소유이고 나머지 2만7천여평은 대부분 시유지다.

학원측은 이곳에 3백78억원 (땅값제외) 을 들여 제2캠퍼스 (15개 학과, 학생 1천2백여명 수용) 를 99년 3월 개교 목표로 지을 계획. 지금의 울산전문대 자리 (남구무거동)에는 더 이상 건물을 지을 땅이 없어지자 95년 11월부터 부지물색에 나선 끝에 올들어 방어진공원을 후보지로 잡고 본격 추진해 왔다.

학원측은 방어진공원에 제2캠퍼스를 설립하는 이유로 ▶울산지역, 특히 동구지역에 고등교육기관이 부족하고▶공원 일부가 학원소유여서 신속한 학교설립이 가능하며▶학생들의 생활비.등록금등 연간 2백억여원의 지역 재투자 효과가 있고▶동구지역에는 공원부지와 그린벨트가 많아 일부를 대학부지로 이용해도 환경보전등에 영향이 없다는 점을 꼽고 있다.

학원측은 지난 6월 울산지역 각계 인사로 구성된 설립추진위원회까지 만들어 공청회를 갖는등 여론을 조성하는 한편 시의회의 설득에도 힘써왔다.

반면 울산시와 이에 반대하는 시민들은 "개인 땅이 수십년째 공원으로 묶여 있는 곳이 많지만 공원을 해제한 전례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용도변경을 허가하면 엄청난 특혜시비를 불러 일으킬 것" 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울산시측도 "이미 여러 차례 반대입장을 밝혔는데도 그룹 소유의 공원부지에 제2캠퍼스를 짓기위해 청원서까지 내 시의원들의 설득에 나선 것은 시민정서에도 어긋난다" 고 지적하고 있다.

울산시 구민원 (具敏元) 도시국장도 "포화상태에 있는 동구지역에 제2캠퍼스를 짓기 보다는 울산 전체의 발전을 위해 대학촌 부지 (1백80만평) 로 지정된 두동면같은 외곽지역에 짓는 것이 바람직하다" 며 '공원해제 불가' 입장을 밝혔다.

울산 = 황선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