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남 예천군수 81억 상속 ‘최대 증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행정부 고위 공직자의 재테크 결과는 어떨까. 주식·펀드에 투자한 사람은 울고, 예금과 토지를 소유한 사람은 웃었다.

한승수 총리는 서울 반포동 연립주택과 춘천의 아파트 가격이 700만원 떨어졌으나 논·밭 등의 가격이 2988만원 증가하는 등 전체적으로 7582만원 늘었다. 안호영 외교통상부 통상교섭조정관은 외화예금에 돈을 넣어둔 덕분에 예금이 6억7332만원에서 7억1280만원으로 늘어났다.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사람은 김수남 경북 예천군수. 81억원을 상속해 총액이 118억원이 됐다. 외교통상부 문태영 대변인도 39억원을 상속해 75억원대의 재산가가 됐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24억원 감소한 116억8289만원을 신고했다. 압구정동 아파트 가격의 하락과 펀드 손실이 주요 원인이다. 류철호 한국도로공사 사장도 주가하락으로 재산이 반 토막 나면서 56억원 선이 됐다.

경제 관련 기관·부처의 공무원도 경기침체의 여파를 피해 가지 못했다. 이윤호 지식경제부 장관은 펀드 평가액 하락 등으로 재산이 15억원 줄었다.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는 올해 17억원을 신고했으나 펀드 수익률 감소로 지난해보다 5060만원 줄었다. 재경부 윤영선 세제실장은 펀드 평가액과 주가의 하락으로 19억원에서 14억7583만원으로 4억원 넘게 손해를 봤다.

반면 진동수 금융위원회 위원장과 김종창 금융감독원 원장은 예금 보유액이 늘어났다. 진 위원장은 본인 명의의 전북 고창군 대지 일부를 매각한 돈과 수출입은행장 시절 퇴직금을 저축해 예금이 5억원에서 6억4200만원으로 늘어났다. 김 원장은 보유하고 있던 15억7000만원어치의 주식을 대부분 팔아 현재 1980만원어치만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덕분에 예금액이 5억4800만원에서 17억9800만원으로 늘어났다.

김경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