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공유제' 선진국 확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0면

나눔을 통한 환경보전의 또 다른 사례는 '카 셰어링(Car Sharing)', 즉 자동차 공유제도다.

국내에서는 낯설지만 유럽과 북미.일본 등지에서 확대되고 있다.이는 출퇴근 교통체증을 피하기 위한 카풀(Car-Pool)과는 전혀 다르다. 차량을 개인별로 소유하지 않고 적당한 적은 수의 차량을 공동으로 마련, 각자가 필요한 경우에만 이용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100가구가 현재 80대의 자가용을 갖고 있지만 필요한 때만 사용한다면 20~30대로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마치 콘도미니엄의 회원권으로 예약.이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예치금이나 연회비를 내고 가입하는 회원들은 이용할 때마다 시간.거리단위로 사용요금을 낸다.이는 기름값.보험료.유지비로 사용된다. 보통 정해진 곳에서 차를 타고 정해진 곳에 차를 되돌려 주게 된다.

1980년대 후반 자동차 공유운동이 가장 먼저 시작된 독일의 경우 2002년을 기준으로 5만6000여명이 2400대를 공유하고 있다. 스위스에서는 4만3000여명이 1700여대를 함께 이용하고 있다.

시민환경연구소 최예용 실장은 "지하철 등 대중교통수단과 연계할 경우 자동차 공유제도는 주차장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이동경비는 20% 이상, 연료비는 55% 정도 절약할 수 있다"고 말한다.

차량감소로 인한 대기오염을 개선하고 연료 사용을 줄임으로써 온실가스 발생도 억제한다. 국내에서는 지역화폐운동과 겸해서 이 제도를 도입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세금.보험 등의 문제로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