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여권 공략나선 국민회의…야권대연합 구도짠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국민회의가 야권 대연합의 시동을 걸고 나섰다.

자민련과는 쟁점인 내각제 형태 문제의 타결로 늦어도 11월 첫째주까지는 협상이 마무리될 것으로 보고 있다.

자민련측이 관심을 갖고 있는 16대 총선 이후 양당의 공존책에 대해서도 당내 분위기는 수용론이 우세하다.

신한국당과 여 (與) 성향 후보들이 반 (反) DJP 연대를 모색하는 상황을 역으로 범여권 공략의 호기로 보고 있다.

이회창 후보의 사퇴나 이인제.조순 후보의 양보 가능성은 희박하고 따라서 논의의 장기화, 이에 따른 실망감의 극대화를 점치고 있다.

검찰이 21일 비자금 수사를 대선 후로 공식 유보한 것도 자신감을 더하고 있다.

그간 이인제후보와 김대중 후보를 놓고 저울질하던 통추 (국민통합추진회의)가 최근 DJ도 유력한 대안으로 고려하는 듯한 것도 야권 대연합론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김원기 공동대표 중심의 통추 일부가 재야 일부 인사와 결합해 준 (準) 정당 형태를 갖춘후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단일화 협상 타결 직후인 11월10일께 국민회의 합류를 목표로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정권교체라는 명분과 공동정권의 지분 할애라는 실리가 주어지면 통추의 60~70%는 함께 할 수 있을 것으로 국민회의는 기대하고 있다.

통추 인사 2명정도가 총재단에 들어올 것이란 얘기, 국민회의와 자민련의 공동정권 지분을 30%씩으로 하향 조정하고 다양한 제3세력에 40%를 할애할 수도 있다는 얘기가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박태준 의원의 적극적인 태도도 국민회의를 고무시키는 요인이다.

독자적인 세 (勢) 결집 노력도 활발하다.

신한국당 인사들과의 연대는 아직 원외가 중심이다.

박상규 부총재가 최형우 의원 외곽조직을 중심으로 입당교섭을 벌이고 있다.

국민회의의 이러한 계획에 변수도 있다.

자민련과의 단일화가 늦어지면 나머지 계획도 순연될 수밖에 없다.

국민회의 수뇌부는 그러나 "시간이 문제일뿐" 이라며 결국은 김대중후보 중심으로 뭉친 범야권이 2~3명의 후보로 난립한 범여권을 역포위할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

김현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