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랍주조 금속활자 첫 발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1면

 밀랍주조법으로 제작된 금속활자가 처음 확인됐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조선시대 금속활자 ‘임진자’에서 밀랍주조법으로 제작된 금속활자(사진)를 발견했다”고 9일 밝혔다. 금속활자 주조 방법으론 조선시대 『용재총화』에 기록된 ‘주물사주조법’이 주로 알려져 있었다. 세계에서 제일 오래된 금속활자본 『직지』 등 고려시대에는 밀랍주조법을 널리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관련 문헌 기록이나 활자가 남아있지 않아 이를 입증하기 어려웠다. 이번에 발견된 활자는 ‘임진자’로 임진년(1772년, 영조 48년)에 주조한 활자다. 박물관 측은 “이번 발견으로 금속활자 복원사업 등 관련 분야의 연구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발견을 담은 논문 ‘밀랍주조법으로 제작된 고대 금속활자’는 ‘금속·재료 분야 국제학술지(Metals and Materials International)’ 2월호에 게재됐다.

이경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