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아이비리그 대학 첫 한인 총장 탄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 ‘아이비리그’에 첫 한인 총장이 탄생했다. 김용(49ㆍ미국명 Jim Yong Kim) 하버드 의대 국제보건ㆍ사회의학과장이 다트머스대의 제17대 총장으로 선출됐다. 아이비 리그(Ivy League)란 하버드ㆍ예일ㆍ컬럼비아ㆍ브라운ㆍ코넬ㆍ프린스턴ㆍ다트머스ㆍ펜실베이니아 등 미국 동부의 8대 명문대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담쟁이 넝쿨이 학교 건물을 뒤덮을 정도로 역사와 전통이 깊다는 뜻에서 유래된 것이다. 아이비 리그에서 한인은 물론 아시아계가 총장에 선임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신임 총장은 오는 7월부터 제임스 라이트 현 총장의 후임으로 240년 역사(1769년 설립)의 다트머스대의 사령탑을 맡게 된다.

김 신임 총장은“총장을 맡게 돼 매우 영광스럽다”면서 “다트머스대를 세계적인 교육기관으로 만든 라이트 총장과 전임자들의 업적에 부응하겠다”고 취임 소감을 밝혔다.

이날 학생들과 교직원 모임에서 김 신임총장의 선임을 발표한 다트머스대 에드 핼드먼 재단이사장은 “김 신임 총장은 다트머스대의 사명 중 핵심인 배움과 혁신, 봉사에서 가장 이상적인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1959년 12월 서울에서 태어난 뒤 5살 때 아시아계 가구로는 단 두 가족에 불과했던 아이오와주 머스커틴으로 이민을 온 김 박사는 브라운대를 거쳐 하버드대에서 의학과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하버드 의대 교수로 재직해왔다.

특히 김 신임 총장은 2004년에는 세계보건기구(WHO) 에이즈국장을 맡는 등 에이즈와 결핵 등 인류의 질병 퇴치를 위해 헌신해온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2006년에는 미국 타임지가 뽑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에 선정되기도 했고 2005년에는 US 뉴스앤월드리포트에 의해 ‘미국의 최고 지도자 25명’에 뽑히기도 했다.

당시‘타임’지는 김 박사가 남미에서 약품내성이 있는 결핵 퇴치를 위해 노력하고 WHO 에이즈국장으로 활동하면서 감염성 질환 근절에도 앞장섰다면서 현시대에 위대한 사상을 제공한 ‘과학자와 사상가’ 분야의 유력인사로 소개했다. 김 박사가 공동으로 만든 비영리의료단체 ‘파트너스 인 헬스’ 활동을 통해 의약품 가격 인하 운동을 펼쳐 36개국에서 결실을 보았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최근 김 박사가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에이즈 조정관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라이트 현 총장은 “다트머스 역사에서 자랑스러운 순간”이라며 “혁신적이고 열정적이며 국제적 안목을 갖춘 신임 김 총장이 새로운 시대에 대학을 이끌게 됐다는 점이 대학으로서 매우 행운”이라고 김 총장의 선임을 축하했다.

다스머스대는 11년간 재임한 라이트 현 총장이 지난해 봄에 2009년 6월에 퇴임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이후 신임 총장 선임 작업에 나섰고 14명으로 구성된 총장 선임 위원회를 작년 6월에 구성해 400명의 후보 가운데 총장 선임 작업을 해왔다.

김 신임총장은 평소 야구, 배구, 테니스, 골프를 즐기면서 체력을 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족으로는 보스턴 아동병원 소아과의사인 부인과 8살 및 지난달 27일 태어난 2명의 아들이 있다.

디지털뉴스 jdn@joins.com

[인물정보] 미국 다트머스대 김용 총장 내정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