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기지 30만평 양보 시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은 17일 한강 이북 주한미군 기지의 평택.오산 이전 협상에 대해 "이전 면적을 두고 한국(330만평)과 미국(360만평) 간에 30만평 차이가 있는데, 주한미군의 안정적 주둔을 위해 적극적.호의적으로 생각하는 것이 동맹의 도리가 아니겠느냐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 장관은 이날 본지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하고 "한.미 간에 상호 만족할 수준에서 합의가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 장관의 발언은 7월에 열릴 10차 미래 한.미동맹 정책구상회의(FOTA)에서 주한미군 기지 이전 문제가 매듭지어질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반 장관은 미국의 주한미군 1만2500명 감축 통보에 대해 "협력적 자주국방, 한.미 연합방위 능력 강화 차원에서 구체적 시기 등을 미국과 협의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리처드 롤리스 미 국방부 부차관보가 6자회담을 마치고 (이달 말) 서울에 오면 이 문제를 협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는 23~26일의 3차 북핵 6자회담과 관련해선 "북한이 궁극적으로 핵 폐기로 가는 핵 동결을 입증하면 관련국이 에너지 지원을 하도록 하는 틀을 이뤄내는 것이 우리의 목표"라며 "미국도 우리 정부의 목표에 대한 현실적 필요성을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북 경수로 지원 건설 공사가 중단된 것에 대해선 "북핵 문제가 해결되는 경우에는 공사 재개를 검토할 수 있다"며 "북핵 문제의 진전을 지켜보면서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와 긴밀히 협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수로 (중단) 문제는 결과적으로 (북.미 간) 신뢰문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 주도의 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PSI) 참여 문제에 대해 "협력 요청을 받으면 사안별로 협조할 수 있지만, 남북 교류가 진전되고 있는 한반도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 실제 가입 문제는 더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제2차 남북 정상회담 개최 문제와 관련해선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답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며 "북핵 문제의 (해결) 가닥이 보일 때 남북 정상회담이 이뤄질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반 장관은 중국 투먼(圖們)수용소에 억류돼 있던 탈북자 7명이 북한으로 송환된 데 대해 "국민께 송구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이들이 북한에서 박해받지 않도록 중국이 다시 한번 북한에 얘기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덧붙였다.

오영환.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