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주가 12년 만에 7000선 위협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103호 01면

미국 뉴욕 증시의 다우지수가 7000선을 위협하며 12년 만에 가장 낮아졌다. 씨티그룹이 사실상 국유화되면서 은행주가 떨어진 데다 경제성장률이 급락하는 등 경기침체도 예상보다 깊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씨티그룹 국유화 소식에 은행주 동반 하락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뉴욕 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전날보다 119.15포인트(1.66%) 내린 7062.93에 거래를 마쳤다. 1997년 5월 이후 최저다. 정보기술(IT) 거품 붕괴로 주가가 급락했던 2002년 9월(7528)보다 낮은 수준이다.

나스닥지수도 약세였다. 전날보다 13.63포인트(0.98%) 떨어진 1377.84로 마감했다. S&P500지수 역시 17.74포인트(2.36%) 내린 735.09였다. 다우지수는 2월 한 달간 11.7% 떨어졌으며,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도 각각 11%와 6.7% 내렸다.

씨티그룹은 미국 정부가 상환 우선주를 보통주로 바꾸는 방식으로 36%의 지분을 확보, 사실상 국유화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39%나 폭락했다. 정부 지분율이 늘어나는 만큼 회사가 발행한 주식 수가 많아져 일반 투자자들의 주당 가치가 희석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이날 씨티그룹의 종가는 1.5달러로 18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뱅크오브아메리카(-26%)와 웰스파고(-16%)ㆍ모건스탠리(-8.4%) 등 다른 은행주도 동반 하락했다.

지난해 4분기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6.2%(전분기 대비)를 기록했다는 발표도 증시에 악재로 작용했다. 82년 1분기 이후 최악의 성장률이다. 당초 미국 정부는 지난해 4분기 성장률을 마이너스 3.8%로 추정했다.

한편 씨티그룹의 사실상 국유화와 관련, 한국씨티은행 관계자는 “한국씨티은행의 영업이나 경영권 변화는 없을 것”이라며 “항간에 떠도는 매각설은 전혀 근거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씨티은행은 ‘씨티홀딩스’(부실 계열사)가 아닌 ‘씨티코프’(건전한 계열사)에 포함돼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