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범 1주년, 반정부 시위도 잇따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이명박 정부 출범 1주년인 25일 전국농민회총연맹·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진보성향의 시민단체들은 서울시내 곳곳에서 집회를 열었다.

전국농민회총연맹 소속 600여 명은 이날 오후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전국농민대회를 열고 농협개혁과 용산 농성자 사망 사건에 대한 정부 사과를 요구했다. 일부 지역농민회 회원들은 대회 직후 해당 지역의 국회의원들을 찾아가 요구사항을 전했다. 용산 사건의 대책위 관계자와 시민 200여 명도 이날 저녁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 모여 책임자 처벌과 구속자 석방을 요구했다.

민노당 서울시당, 범민련 서울연합 등 10여 개 진보단체로 구성된 ‘서울지역 공동행동’ 회원 300여 명은 같은 장소에서 정부의 노동정책을 비판하는 집회를 열었다. 일부 참석자들은 용산 대책위의 집회에 합류했다.

전교조 정진후 위원장은 청와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학생들을 입시경쟁으로 내모는 정부의 교육정책을 전면 전환하라”고 요구한 뒤 무기한 단식농성에 들어갔다. 전교조는 다음 달 10일 치러질 일제고사의 문제점을 담은 편지를 학부모에게 발송하고 일제고사 금지법 서명운동 등을 벌이기로 했다.

이에 앞서 진보성향의 시민단체 연합인 ‘민생민주 국민회의’는 이날 정동 프란치스코 회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현 정부의 정책은 민생부문과 민주주의, 남북관계 등에서 총체적으로 실패했다”고 주장했다. 단체 관계자는 “정부 출범 1년 만에 경제적 위기는 더욱 심각해졌고, 서민들의 삶도 더욱 팍팍해졌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세계 경제의 동반 위기라는 점을 고려해도 정부의 경제정책이 잘못됐다는 평가를 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MBC노조가 주축인 전국언론노동조합 회원 500여 명은 이날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의 미디어 관련법안 직권 상정과 관련해 여의도 산업은행 앞에서 집회를 열고 제작 거부를 포함한 총파업을 결의했다. 언론노조 권철 사무처장은 “언론구조 전체를 바꾸는 법안이 일방적으로 처리됐다”며 “오늘부터 총파업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정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