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특수강 공동경영 정부선 어떻게 보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기아.현대.대우그룹의 기아특수강 공동경영 방침에 대해 정부는 막을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기아특수강을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가장 골치아픈 문제였는데 의외로 쉽게 풀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고위관계자는 1일 "보도를 보고 공동경영 방침을 처음 알았다" 며 "뜻밖이지만 이렇게만 된다면 반대할 이유가 없다" 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아직 공동경영이 정확히 무엇을 뜻하는지, 또 어떤 식으로 하겠다는 것인지 분명치 않아 좀 더 지켜봐야겠다" 고 덧붙였다.

공동경영을 일단 환영하지만 실제로 실현될지에 대해서는 아직 미심쩍은 부분이 많다는 얘기다.

현재 공동경영의 방식으로는 기아그룹의 기아특수강 지분 (26.15%) 을 기아.대우.현대가 3분의1씩 쪼개 갖거나, 아니면 새로 증자를 한뒤 주총 특별결의를 통해 현대.대우에 배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증권거래법상으로는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기아특수강의 지분뿐 아니라 1조2천억원이 넘는 부채도 3분의1씩 쪼개 가져야 하는데 과연 현대.대우가 이처럼 많은 부채를 떠안을 의사와 여력이 있는지 선뜻 이해가 잘 안된다는 입장이다.

정부 일각에서는 기아그룹이 실현 가능성도 희박한 공동경영 방침을 채권금융기관을 설득하기 위한 카드로 내세운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고 있다.

정부의 다른 관계자는 "현대.대우가 기아특수강 부채를 떠안으면 재무구조가 나빠지는데 채권금융기관들이 이를 승인해줄지도 관건" 이라고 말했다.

고현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