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선주 “배 인도 늦춰달라” … 조선업계 초긴장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일부 해외 선주들이 세계적 금융위기를 빌미로 발주해 놓은 배의 인도 시기를 늦춰 달라는 요구를 하고 있어 국내 조선업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해외 선주들은 한 척에 수백억~수천억원에 이르는 선박 대금을 보통 다섯 차례에 걸쳐 준다. 하지만 인도 시점에서 총대금의 절반 정도를 주는 게 일반적이다. 따라서 해외 선주들의 배 인도 연기 요구는 대금 납부 연기 요청이나 마찬가지다.

해운 뉴스 포털인 로이드리스트는 최근 독일의 대표적 선주 클라우스 페터 오펜이 ‘해운 경기 악화로 한국의 한 대형 조선사에 발주한 1만4000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를 실을 수 있는 용량)급 컨테이너선 네 척의 인도 시기를 연기해 줄 것을 요청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공개되지는 않고 있지만 대부분의 선주가 조선소에 배 인도 연기 압력을 가하고 있다”며 ‘조선사들이 아직도 새로운 배 주문을 많이 받는 ‘기적’을 바라고 있지만 선주들이 배를 살 돈이 없다는 단순한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외신에 따르면 스위스 MSC와 프랑스 CMA-CGM 등도 자금난으로 최근 한국의 대형 조선업체에 선박 인도 시기 연기를 요청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대형 조선업체의 한 관계자는 “공식적으로 그런 요청을 받은 바 없다”며 “그러나 실무 차원에서는 서로 이야기를 나눈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선박 인도 연기 요청을 조선업체들이 마냥 무시할 수만은 없다.

익명을 요구한 조선업체의 고위 관계자는 “선주들은 보통 선박대금의 20%를 자기 돈으로 내고 나머지는 금융권에서 조달하는데 세계적 금융위기로 돈을 빌리기가 쉽지 않다”며 “선수금을 떼고 계약을 취소하기는 쉽지 않겠지만 인도 시기 연기 요청은 할 수 있어 조선업체들이 이를 거부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선주들이 살아야 조선업체가 살기 때문에 이 같은 요구를 무시할 수 없다”며 “다만 이를 공개적으로 해주기는 어렵고 비밀리에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리투자증권 송재학 연구위원은 “선주들은 조선 가격 급락과 해운시황 침체로 발주 취소를 고려하고 있어 2분기 이후에는 이 같은 문제가 본격적으로 부각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발표를 하지 않아 그렇지 현재도 중소형업체를 중심으로 발주 취소가 적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선·해운 시장조사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선박 가격을 나타내는 선가지수는 지난해 9월 190으로 고점을 찍은 뒤 10월 186, 11월 179, 12월 177 그리고 올해 1월 말에는 167로 떨어졌다.

특히 조선업체들은 신규 선박 수주 실적도 저조해 이중고를 겪고 있다.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대형 3사는 업체별로 227~490척, 금액으로는 430억 ~570억 달러어치씩 선박을 수주해 3년치 이상의 일감을 확보해 놓고 있다. 하지만 금융위기가 본격화한 10월 이후에는 대형 3사의 수주 실적이 업체별로 1~5척에 불과하다. 굿모닝신한증권 조인갑 연구위원은 “빅3는 현금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데다 일감도 아직 충분해 최근의 수주 부진이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나 이 같은 상황이 2분기까지 이어질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염태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