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바람 조짐 보이는 신한국당 경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신한국당 경선에 돈선거 논란이 일고 있다.

7일밤 온산(溫山:崔炯佑고문의 호)계 심야대책모임에서 불거져 나온 매표(賣票)논란은 경선을 둘러싼 금품요구 소문이 사실임을 입증했다.

특히 이 사례는 몇가지 음미할 대목이 있다.

우선 정동포럼의 집단 지지를 대가로 무려 20억원을 요구했다는 점은 신한국당 경선에서 뿌려질 수 있는 돈의 규모를 간접적으로 보여준다.

더구나 이같은 돈을 요구한 사람이 의원이거나 지구당위원장 신분이 아니라는 점은 선거브로커의 존재를 증명해주는 것이기도 하다.

물론 경선에 출마한 후보가 7명이나 되다보니 서로 감시의 눈이 매서워 과거같은 노골적인 금권선거는 찾아보기 힘들다는 것이 중론이다.그러나 이번 사례는 은밀하고 조직적인 금품 살포가 가능함을 시사해 관심을 끌고 있다.

이번의 경우 해당후보가 거절했기에 표면위로 드러날 수 있었지만 만일 후보측에서 이 제의를 받아들였다면 비밀로 부쳐질 수 밖에 없다.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간에 묵계만 이뤄지면 제3자가 알 길이 없기 때문이다.

이미 경선운동이 시작되기전부터 당 주변에선 착수금.중도금등의 용어가 나돌았다.

각 후보진영에서 돈을 매개로 위원장들을 포섭하는 작업이 단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것이지만 수면위로 밝혀진 것은 아직 없다.처음 만나 우호적인 반응을 보일 때 건네지는 돈은 착수금이고 두세번 만났을때 건네지는 돈은 중도금이다.

한 의원의 보좌관은“착수금과 중도금은 지구당위원장의 경력에 비례한다”며“관망파보다 상대진영의 사람을 빼올때 액수가 증가하는데 보통 수천만원에서 수억원대”라고 귀띔했다.

실제로 모후보가 다른 후보측에 가담한 지구당위원장을 빼내오기 위해 3억원을 건넸다는 소문도 돌고 있다.각 후보진영에서 시.도별 조직책임자들에게 건네는 활동비도 만만찮다는 후문이다.

보통 자금 살포는 선거일이 임박하면서 대량으로 이뤄진다.때문에 경선 종반으로 갈수록 매표 가능성은 한층 높아진다고 봐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 후보는 최근 사석에서 돈걱정을 털어 놓으며“대선자금 시비를 겪으면서도 현실정치는 아직도 돈을 요구하고 있다는 사실이 개탄스럽다”고 말했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