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상수도 요금 인상 땅속으로 스며드는 수돗물 원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9면

전북도내 시.군이 막대한 예산을 들여 생산한 수돗물이 연간 1백20억원어치인 3천7백만여씩 땅속으로 스며들어 해마다 상수도요금 인상요인이 되고 있다.

전북도는 9일“전주.군산시등 도내 일선 시.군의 지난해 하루평균 55만1천여의 수돗물 생산량 가운데 19.1%인 10만1천여이 땅속으로 버려지고 있다”고 밝혔다.

이같은 수돗물의 누수량은 95년 18%,94년 17.1%등 해마다 1%포인트가량 증가하고 있어 올해는 20%이상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수돗물 누수량을 시.군별로 보면▶전주시가 연간 7백만여으로 가장 많고▶군산시 5백만▶익산시 4백50여만▶김제시 4백20여만▶정읍시 4백10여만등으로 나타났다.이같은 수돗물 누수현상은 상.하수관 매설등 각종 공사로 상수도관이 파열돼 빚어지는(2%가량) 것도 있으나 주요인은 생산지에서 수용가에 이르는 상수도관이 낡았기 때문이다.

전북도내 상수도관의 총 길이는 6천5백68㎞로 이중 15년이상된 노후관은 50%이상인 3천3백34㎞로 이들 관의 이음새 부분등이 벌어지거나 파손돼 수돗물이 새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해마다 전북의 상수도 적자액은 연간 5백억여원에 이르고 있으며 적자폭을 줄이기 위해 시.군들은 매년 20%이상 상수도요금을 인상하고 있어 연쇄적인 물가인상의 주범이 되고 있다. 전주=서형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