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도 ‘대출 부실’ 긴장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1면

건설사 구조조정으로 저축은행에도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당장 휘청거릴 정도는 아니지만 갈수록 부담이 커질 것이란 걱정에서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2개 건설사의 구조조정으로 저축은행은 2400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추가로 쌓아야 한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9.1%에서 8.7%로 낮아질 것으로 금감원은 전망했다.

퇴출 결정이 난 대주건설의 경우 주채권 은행인 경남은행에 진 빚이 146억원이지만 지급 보증을 포함한 저축은행 관련 프로젝트파이낸싱(PF) 금액은 3000억원이 넘는다. 워크아웃 대상인 월드건설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5개 저축은행으로부터 320억원의 담보 대출을 받았다.

물론 이런 대출금이 곧바로 저축은행의 손실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워크아웃이 잘되면 정상대출로 바뀔 수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저축은행의 한 관계자는 “이미 지난해부터 부실 대출에 대한 준비를 해 왔기 때문에 크게 걱정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당장 저축은행은 충당금을 더 쌓아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퇴출 대상이 된 대주건설에 대해서는 담보 대출금의 20% 이상을, 무담보 대출금의 50% 이상을 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또 워크아웃에 들어가는 기업에 대해서는 관련 채권이 ‘요주의’로 분류돼 대출금의 7% 이상을 대손충당금으로 쌓아야 한다.

김영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