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포·안산·실종· ㅇ씨’ 검색한 네티즌 추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1면

‘군포’ ‘안산’ ‘실종’ ‘납치’ ‘ㅇ씨’(피해자 이름의 첫 모음).

‘경기도 군포 여대생 실종사건’을 수사 중인 경찰이 주목하고 있는 인터넷 검색어다. 이 5개 단어를 검색한 네티즌을 추적, 범행 연루 가능성을 추적하겠다는 것이다.

경기지방경찰청 수사본부는 네이버·다음 등 9개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5개 단어를 검색했던 네티즌의 인적사항, 아이디, 최근 3개월간의 로그인 기록을 요청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를 위해 수원지법 안산지원으로부터 압수수색 영장을 이미 발부받았다.

경찰대 표창원(범죄심리학) 교수는 “최근 흉악범들은 증거 인멸 및 도주를 위해 경찰의 수사방향과 관련된 내용을 인터넷으로 수시로 파악하는 추세를 보인다”며 “범인이 범죄현장을 다시 찾는 심리와 일맥상통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해 발생한 안양 초등학생 유괴·살해 사건의 범인 정성현도 범행 후 매일 인터넷에서 사건 내용을 검색했다. 정씨의 검색 기록은 자백을 받아내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인터넷 검색 수사=경찰은 한 포털사이트로부터 1만9000여 건의 검색 자료를 받았으며 다른 업체들에서도 이번 주 내로 자료를 건네받을 예정이다.

이를 토대로 검색 횟수가 많은 네티즌을 추릴 예정이다. 이어 사건 발생 당일 ▶실종 여대생의 예상 이동경로(군포보건소∼안산시 건건동∼안산시 성포동)와 군포·안산 지역을 운행한 차량 소유주 ▶사건 발생 지역 인근의 이동전화 기지국을 사용한 휴대전화 소유주를 분류·대조할 계획이다. 운행 차량은 군포·안산 지역의 주요 도로에 설치된 교통정보수집 CCTV(폐쇄회로TV)와 도로변·상가에 설치된 일반 CCTV 등 300여 대에 녹화된 화면을 통해 확인한다.

경찰은 인터넷 검색·차량 운행·휴대전화 사용이라는 세 가지 조건에 맞는 네티즌이 나올 경우 직접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경기경찰청 나원오 폭력계장은 “관련 네티즌이 수십만 명에 이를 것으로 보이지만 관련성을 따지며 범위를 좁혀 가면 용의자를 압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에선 “불특정 다수의 사생활이 공개돼 인권 침해라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비판한다.

수원=정영진 기자

◆군포 여대생 실종 사건=여대생 A씨(21)는 지난해 12월 19일 오후 3시7분쯤 군포시 산본역에서 마을버스를 타고 귀가하다 실종됐다 . 경찰은 이달 5일 공개수사에 나섰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