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조선사 퇴출 대상 아직 없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은행들이 건설사와 중소 조선사에 대한 신용위험을 잠정 평가한 결과 퇴출 대상으로 분류된 곳이 아직까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부실 징후가 있어 채권단 공동관리(워크아웃)를 받는 대상도 건설사 10~13개, 조선사 2~3개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16일 건설·조선사 채권단에 따르면 주채권은행들은 92개 건설사와 19개 조선사 등 111개 업체에 대해 신용위험 평가를 대부분 마무리했다. 대상 기업은 정상(A), 일시적 유동성 부족(B), 부실 징후(C), 부실(D)의 4단계로 분류됐다. 이 중 C등급은 워크아웃에 들어가고, D등급은 퇴출 대상이다. 주채권은행들은 자체 평가한 등급을 해당 기업에 대출을 해준 다른 은행들과 협의해 23일까지 구조조정 대상 기업을 최종 확정한다. 이 과정에서 기업에 따라서는 주채권은행이 매긴 등급과 다른 결론이 나올 수도 있다.

16일 현재 국민은행은 14개 건설사를 평가한 결과 별다른 이상이 없다며 모두 B등급 이상의 평가를 내렸다. 13개 건설사를 평가한 농협과 11개 건설사의 주채권은행인 신한은행도 D등급을 준 곳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30개 건설사의 주채권은행인 우리은행의 심사가 다소 지연되고 있다.

19개 조선사의 상황도 비슷하다. 6개 중소 조선사를 평가한 우리은행은 모두 B등급 이상을 줬다. 신한은행이 평가한 2개 조선사 중에서도 퇴출 기업으로 분류된 곳은 없다.

 그러나 한국신용평가가 은행권의 신용위험 평가 기준에 따라 94개 건설사를 별도로 평가한 결과 워크아웃 대상이 13곳, 퇴출 대상은 3곳이 나왔다.

이 때문에 구조조정이 예상보다 철저하게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동국대 경영학과 강경훈 교수는 “경제 위기가 완전히 끝난 것이 아니다”며 “기업 구조조정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퍼진다면 외국인 투자자가 이탈하고 대외 신인도에도 나쁜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김원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