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덕대학, ‘프라이드 오브 인덕’ 기치로 인재 양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5면

인덕대학은 ‘작지만 강한 대학’을 모토로 명문 전문대학의 발걸음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1971년 산업디자이너를 양성하는 2년제 전문교육 기관인 인덕예술공과전문학교에서 출발, 지금은 예능·공학·인문사회 3개 계열 27개 학과를 둔 종합전문대학으로 성장했다. ‘프라이드 오브 인덕(PRIDE OF INDUK)’을 기치로 인재 양성에 열중하고 있다.

이 대학의 발전은 투자와 지원에서 시작됐다. 초창기 디자인·기초공업 분야 중심 학과를 육성하다가 1980년대 들어 IT의 흐름에 발맞춰 전자·정보통신 및 방송기술 분야에 막대한 투자를 바탕으로 오늘의 모습으로 거듭났다고 이 대학은 설명했다. 직업 중심·현장 중심 교육을 무기로 ‘즉시 투입형’ 인재를 길러내는 것이 목표라는 설명이다.

지난 2005년에는 전국 10개 거점 지역의 ‘산학협력 중심전문대학’ 사업에서 서울지역 대표 대학으로 선정돼 4년 동안 120억원을 지원받으며 허브 대학으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난 2000년 이후 교육과학기술부 지원 재정 지원 사업을 7년 연속 수행하고 있으며 500여개 산업체와 다양한 산학 협력을 맺고 있다.

올해 은봉관을 신축하고 2010년까지 콤플렉스 센터를 완공하면 이 대학은 한 번 더 탈바꿈하게 될 전망이다. 은봉관은 지하2층, 지상 8층 규모로 각종 대학 행정실이 이주하며 콤플렉스 센터는 지하에 잔디구장과 수영장, 피트니스 센터를 짓고 그 위에 평생교육원이 옮겨갈 예정이다.

인덕 대학은 국제화 프로그램으로 전 세계 7개국 31개 대학과의 교류 협정을 체결했다. 일본·중국·미국·영국·캐나다·호주 등 세계 각지의 대학과 자매 결연을 맺었으며 일본·중국·캐나다·호주 대학들과는 어학연수 프로그램을 진행 중이다. 또 중국의 30여개 대학으로 구성된 중국 국가시범성 소프트웨어대학과의 교육 교류 협정을 체결했다고 이 대학은 말했다. 중국에서 신기술 우수 시범대학을 선정해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프로젝트로 북경교통대학의 루웨이 부총장을 방문단장으로 16개 대학 관계자들이 인덕대학을 방문한 바 있다. 한편 이 대학은 2009학년도에 도시환경디자인과, 일본어과, 사회복지과, 세무회계과 등을 신설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