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아침...인체내 암 전이 비밀 밝혀졌다

중앙일보

입력

한국과 미국의 연구진이 폐암 등 암 세포가 인체에 전이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면역계를 교란시키며 이 과정에 어떤 인자가 관여하는지를 밝혀냈다. 이에 따라 암 환자들이 암 세포 절개나 제거 수술을 받은 뒤에도 재발되거나 전이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치료 방안을 개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건국대 생명과학부 김영준 교수와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 샌디에이고) 마이클 카린 교수, 김선화 박사팀은 폐암 세포가 전이될 때 체내 면역계의 신호를 가로채 면역계 신호가 암세포의 전이를 돕게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결과는 국제과학저널 ‘네이처’에 1일자에 게재했다.

지금까지 암 발생과 증폭 과정은 많은 연구가 진행됐으나 암 전이과정은 매우 복잡한 단계들이 결합해 있어 자세한 메커니즘(기작)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에서 암세포가 만들어낸 단백질이 면역성 세포들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면역성 세포들이 암세포의 전이와 성장을 유도하는 과정을 제시했다.

연구결과 성숙한 폐암 세포는 '베르시칸(versican)'이라는 단백질을 분비하고 이 단백질이 면역성 세포인 대식세포(macrophage)와 염증 관련 신호전달물질인 '톨 유사 수용체 2(TLR2)' 등을 활성화해 골수에서 종양괴사인자-α(TNF-α)가 생성되도록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연구진은 또 골수성 세포에서 생성되는 TNF-α는 암세포가 다른 조직으로 전이되는 것을 매개하며 그 과정이 TLR2의 신호전달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즉 폐암 세포 등에서 생성된 베르시칸이라는 단백질이 TLR2를 활성화해 TNF-α 등 염증 관련 인자가 만들어지게 함으로써 폐암 세포의 전이 및 증식을 증진시킨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암세포가 분비하는 골수성 세포 활성 인자인 베르시칸을 처음으로 분리, 정제해 확인했으며 관련 신호 전달 과정을 TNF-α와 TLR2 등의 유전자 기능을 없앤 녹아웃 쥐를 통해 실험으로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김영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암 전이과정이 TLR2의 신호전달에 의해 매개 된다는 사실과 베르시칸이 중요한 매개 인자라는 것을 처음으로 제시하고 베르시칸과 TLR2의 상호 작용을 통해 종양괴사인자 TNF-α의 생성을 증진하여 암 전이가 이루어짐을 최초로 밝혀냈다”며 “폐암 등 암환자에서 수술 후 재발 또는 전이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치료방안을 제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헬스코리아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