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에 '박승규 리스트' 새 파문 - 김윤환 의원 금명 소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대검 중앙수사부(沈在淪검사장)는 12일 신한국당 고문인 김윤환(金潤煥)의원이 한보측으로부터 5천만원을 받은 혐의를 잡고 금명간 金의원을 소환 조사키로 했다.

이른바'박승규(朴承圭) 리스트'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 신한국당 소속 김수한(金守漢)국회의장은 관련 혐의가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박승규 리스트'는 김수한.김윤환.서석재(徐錫宰)의원등이 한보측으로부터 돈을 받은 또다른 정

치인이라고 보도됐었다.

이에대해 김윤환의원측은“한보문화재단 이사장 박승규씨가 鄭씨로부터 돈을 받아 착복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금품수수를 부인했으며 徐의원도“돈 받은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한편 검찰은 12일 오전과 오후에 출두한 신한국당 김덕룡(金德龍).박종웅(朴鍾雄).박성범(朴成範).나오연(羅午淵)의원과 민주당 이중재(李重載)의원등 5명을 상대로 한보로부터 받은 돈의 규모.경위에 대해 조사했다. 〈관계기사 2,3

면〉

이날 조사에서 박성범의원등은 한보측으로부터 돈을 받은 일은 있으나 대가성이 없는 순수한 후원금이었다고 주장한 반면 박종웅의원은 한보측으로부터 어떤 명목으로도 돈을 받은 일이 없다고 완강히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이 의원들을 이날밤 모두 귀가시켰으며 금품수수 혐의를 부인한 박종웅의원에 대해선 보좌관등을 상대로 보강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검찰은 국민회의 김상현(金相賢)의원을 포함해 일부 의원들의 경우 단순한 정치자금으로 보기 어려운 점이 있어 소환 대상자 33명 전원에 대한 조사를 마친후 이들의 사법처리 여부를 일괄 결정키로 했다.이에 앞서 11일 소환된 김용환(

金龍煥).김상현의원은 철야 조사를 받은뒤 각각 12일 새벽 귀가했다.

국민회의 金의원은“지난해 9월 국정감사 직전 당시 한보철강 이용남(李龍男)사장으로부터 5천만원을 받았다”고 시인했다.검찰은 金의원이 돈을 받은 시점이 리스트에 거명된 다른 의원들의 경우와 달리 선거 전후가 아닌 국정감사 직전이어서

대가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또 자민련 金의원은“지난해 9월 박승규이사장에게 자민련 당보에 게재된 광고료 2백만원을 보내라고 요구했으나 1천만원을 보내와 나머지는 당운영비로 썼다”고 진술했다.

金의원은 그러나“지난해 4.11 총선 직전 朴이사장에게 5천만원을 건네주라고 지시하고 사후에 전달 사실을 보고받았다”는 정태수총회장의 진술에 대해선 부인했다.

검찰은 朴이사장이“총선 직전 鄭총회장으로부터 받은 돈을 金의원에 건네지 않고 내가 썼다”고 진술하는등 세사람의 진술이 서로 엇갈림에 따라 金의원과 朴이사장이 사전에 말을 맞췄는지 여부등에 대한 보강조사를 벌이고 있다. 〈김종혁.예영준 기자〉

<사진설명>

신한국당 김덕룡의원이 12일 검찰조사를 받기 위해 서초동 대검청사에 출두하고 있다.金의원의 출두에는 신한국당 이규택.정형근의원등 동료의원과 20여명의 당직자들이 뒤따라 세를 과시했다. 〈박종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