眞本 따로 있다는 소문돌아 뒤숭숭 - 정태수 리스트 파문 확대일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회의원에 대한 검찰의 2차소환이 시작된 11일 정치권의 주된 관심사는'정태수(鄭泰守)리스트'파문이 어디까지 갈 것인가에 모아졌다.

여야 중진 3인의 소환이 현실로 다가오자 정치권은 뒤숭숭한 분위기속에 이들보다 윗선의 관련설이 대두됐다.

특히“지금 이름이 나온 사람들은 김종국(金鍾國)전 한보재정본부장이 관리해온 사람들이고 진짜 정태수 리스트는 따로 있다”는 여권 한 소식통의 발언이 11일 일부 보도되며 파장은 더욱 커졌다.

“거물급이 더 있다”며 여야 중진들의 이름이 정치권에 새로 흘러나오는 것도'정치권 빅뱅을 향한 모종의 공작설'을 부채질했다.

청와대와 신한국당 지도부의 반응은 조기 진화(鎭火)쪽이었다.

이윤성(李允盛)대변인은“검찰수사는 진실을 규명하는 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는데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옥석(玉石)구분을 하는게 추가 소환의 목적일뿐 파문의 확대 재생산은 여권의 진의가 아니라는 말이다.

익명을 요구한 청와대관계자도 “시나리오는 없다”고 딱 잘라말했다.이 관계자는“일부 당사자들이 반발하고 있지만 조사를 다 끝내면 오해가 풀릴 것”이라고 장담 비슷하게 말했다.

국민회의쪽 반응도 비슷하다.설훈(薛勳)부대변인은 간부 간담회후 “검찰은 관련수사를 최단시일내 끝내고 결과를 공명정대하게 밝혀야 한다”고 담담하게 말했다.

국민회의에는 모종 채널을 통해 “이번 수사는 그간의 의혹을 총정리해 한번 거르자는 의도”라는 여권 고위층의 의사 전달이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자민련도 김용환(金龍煥)사무총장의 소환이 95년 창당 자금과 관계있다는 보도에 발끈할뿐 사태를 심각하게 우려하는 분위기는 아니었다.

김종필(金鍾泌)총재 측근 인사는 빅뱅설을“청문회 열기를 식히는 한편 시간벌기가 주목적같다”고 분석했다.

3당이 이처럼 상황을 한단계 냉각시켜 보는데 반해 의원회관쪽은 중진 소환이 현실로 나타나자 한층 더 어수선해졌다.

“정치권을 공멸(共滅)일보 직전까지 몰고갔다가 행정구역.선거구제.선거법등 3대 제도개혁과 함께 내각제로 전환한다더라”“K.C의원이 입을 열면 빅뱅은 피할 수 없다”는 등의 풍설과 우려가 팽배했다.

정태수 총회장이 직접 관리해온 명단이 담긴 전자수첩을 검찰이 확보했다는 얘기,이용남(李龍男)리스트.정보근(鄭譜根)리스트등의 조어(造語)도 회자됐다.

이런 우려는 청문회를 열어도 한보 진상이 제대로 밝혀지는 것같지않고,잇따른 괴문서로 정치인 상호간의 불신이 깊어진 것이 주요 원인이라는 지적이었다.

검찰의 제2소환이 마무리될 때까지 정치권 빅뱅설과 거물 연루설은 쉬 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김현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