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검찰 수사책임자 바꿔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연이어 제기되는 각종 의혹과 증언과 증거로 확산일로에 있는'소산(小山)게이트'는 원칙대로 푸는 외에는 별다른 해법이 없는듯 하다.공적 지위에 있지도 않으면서 국가정보를 보고받고 각종 주요인사에 간여했다는 김현철씨문제는'한보게이트'

와 겹쳐 난국의 파고를 더욱 높게 하고 있다.이회창(李會昌)고문을 신한국당 대표로 지명한 대통령의 선택과 납득할만한 조치가 불가피하다는 여권 핵심관계자들의 의견도 정공법 외에 다른 수단이 없음을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있는대로 밝혀

처리하는 길 뿐이다.

따라서 거듭 강조한대로 정부는 현철씨 국정개입조사에 즉각 착수해야 한다.어디서 어떻게 국가기밀이 흘러나갔는지,인사개입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혹 이권개입은 없었는지 등을 밝혀 해명할 것은 하고,위법사실이 드러나면 관련자를 형사처벌해

야 한다.우리는 이를 위해 검찰의 수사책임자를 교체해야 한다고 본다.검찰이 진상조사의 핵심이 될 수밖에 없는 입장이지만 현재의 수뇌부는 이미 한보수사로 신뢰를 잃은 상태다.

검찰은 한보수사에 대해 수사의지와 노력을 보이지 않았고 국민들의 불만과 의혹이 오히려 더 커지자“누구라도 더 잘 할 수 없었을 것”이라는 등 스스로 한계를 드러냈다.그런 책임자가 지휘하는 수사팀이 현철씨문제에 대해 납득할만한 결과

를 내놓으리라고는 기대하기 어렵다.

현철씨문제는 제기된 의혹만도 각종 인사개입 외에 청와대.안기부조직 등을 통한 정보유출 등 한두가지가 아니다.드러난 증거도 있다.그런데도 검찰수뇌부는 아직도“범죄를 구성하는 단서가 제시되면…”이라는 등 소극적인 입장을 버리지 않고

있다.의혹을 추적,확인하고 범법여부를 밝혀내는 것은 검찰의 일이다.언제까지 눈치를 보다가 끌려가는 모습을 보이고 불신을 증폭시킬 것인가.신임 법무장관은 현철씨의 국정개입사건을 다룰 검찰의 새 진용을 짜야 한다.그래야 검찰조직을 살리

고 현재의 난국을 넘는 토대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