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국회의원 중 처음으로 무소속 이무영(전주 완산), 창조한국당 이한정(비례대표) 의원이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하면서 내년 4월 29일 치러질 재·보궐선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지난 총선 때는 중진 의원이나 정권 실세들의 낙선·낙천 폭이 컸던 터라 벌써부터 이들 거물 정치인의 컴백 여부에 정치권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연초 개각과 4월 재·보선…여권 권력지도 바뀌나
현재 재판이 진행 중인 의원 중 1심과 항소심에서 의원직 상실형(벌금 본인 100만원 이상, 선거사무장 및 회계책임자 300만원 이상)을 선고받은 의원은 이미 의원직을 잃은 두 명을 빼고도 14명이나 된다. 이들이 내년 3월까지 대법원에서 확정 판결을 받아 의원직을 상실할 경우 4월 재·보선이 치러지게 된다.
이재오 조기 복귀에 부정적인 MB
여권의 최대 관심사는 지난 총선 공천 과정에서 이른바 ‘개혁 공천’을 주도했던 이재오-이방호-정종복 전 의원 등 ‘공천 3인방’의 복귀 여부다. 공교롭게도 이들 3인방을 물리친 상대 당 의원이 모두 선거법 위반으로 기소됐다는 점에서 정권 차원의 표적 수사가 아니냐는 말이 많았다.
이재오 전 최고위원의 경우 그와 경쟁했던 문국현(서울 은평을) 창조한국당 대표가 선거법 위반으로 1심에서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상태다. 지금까지의 빠른 재판 속도를 봐서는 내년 3월까지 대법원 판결이 나올 전망이다. 이 전 위원의 측근인 공성진 최고위원은 “그가 선거에 나올지, 다른 공직을 맡을지는 본인이 선택할 문제”라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이명박(MB) 정권에 대한 지지율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 재·보선에 나섰다가 또다시 낙선할 경우 회복하기 힘든 정치적 상처를 입을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문제는 그가 맡을 수 있는 공직이 마땅치 않다는 점이다. 행정안전부나 노동부 장관을 맡는 데 대해서는 이 대통령의 친형인 이상득 전 국회 부의장도 이미 부정적인 견해를 피력했다. 대통령 정무특보로 청와대에 입성해 여권 전체를 아우르는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하는 방안도 거론되지만 그럴 경우 그의 존재를 껄끄러워 하는 친박 의원들의 반발이 불 보듯 뻔하다. 원희룡 의원은 “박 전 대표 측 인사들이 이 전 위원과 한판 붙겠다며 줄을 서고 있는 상황에서 그가 조기 귀국하면 그동안 눌려 왔던 갈등이 한꺼번에 폭발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런 가운데 이 대통령은 지난달 말 이 전 위원의 핵심 측근인 진수희 의원을 청와대로 불러 메시지를 전달했다. 조기 복귀 의지가 강한 그에 대해 이 대통령은 “한국에서 같이 일하지 못해 안타깝다”면서도 복귀 시기에 대해서는 좀 더 상황을 보자는 유보적 입장을 전달했다는 설이 돌고 있다.
이상득 전 부의장과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도 이 전 위원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홍 원내대표와 임태희 정책위 의장 등은 이 전 위원을 비롯한 ‘정권 창업공신’들이 자의 반 타의 반 권력 핵심부에서 멀어진 사이 ‘신(新) 핵심 실세’로 떠오른 뒤 올 한 해 정치권을 좌지우지했다. 이 전 위원이 복귀할 경우 권력 헤게모니를 거머쥐기 위한 치열한 쟁탈전이 불가피하다. 이런 사정들 때문에 이 전 위원이 본인의 강력한 희망에 따라 조기 귀국을 하더라도 일단 정치색이 옅은 자리를 맡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이와 관련, 내년 초 신설될 대통령 직속 녹색성장위원회 위원장을 맡게 될 것이란 얘기도 돌고 있다. 하지만 이마저 ‘대운하 전도사’라는 경력이 걸림돌이 될 것이란 우려가 적잖다.
지난 총선에서 물갈이 공천을 주도했던 이방호 전 사무총장과 정종복 전 사무부총장도 낙선 후 지역구에 칩거하며 와신상담하고 있다. 이 전 총장은 경쟁자였던 강기갑 민노당 대표가 선거법 위반으로 현재 1심 재판을 받고 있다.
이상득 의원의 최측근으로 통하는 정 전 부총장의 경우 김일윤(경북 경주) 의원이 2심까지 유죄 판결을 받은 상태여서 내년 4월 출마가 유력하다. 하지만 11일 박근혜 전 대표가 역시 경주 재·보선을 준비 중인 정수성(예비역 육군대장)씨 출판기념회에 참석하면서 친이계와 친박계 간에 한바탕 공천 전쟁이 예고되고 있다. 박 전 대표의 경주행이 알려지면서 장제원 의원 등 친이계 외곽조직인 선진국민연대 출신 인사들이 경주를 방문해 맞불을 놓으려다 막판에 취소할 정도로 신경전이 팽팽하다.
청와대 맹형규 정무수석과 박형준 홍보기획관의 수도권 출마설도 나온다. 재·보선의 경우 선거 60일 전에 공직을 사퇴해야 하는 총선과 달리 후보 등록 때까지만 사퇴하면 돼 공직 사퇴 부담도 덜한 편이다.
강재섭-손학규 빅매치 성사되나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도 출마 쪽으로 맘을 정했다는 말들이 나온다. 그는 이번 정기국회에서 원외 대표의 한계를 절감하면서 재·보선 가능성이 있는 경남 양산과 인천 부평을 출마를 집중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경남 양산은 허범도 의원의 회계 책임자가 1심에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벌금 300만원 이상 시 당선 무효)을 선고받았다. 부평을의 경우 같은 당 구본철 의원이 선거법 위반으로 2심에서 벌금 400만원을 선고받은 상태다. 박 대표의 한 측근 의원은 “내년 재·보선에 출마해 원내에 재진입한 뒤 18대 국회 하반기에 필생의 꿈인 국회의장직에 도전할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지난 총선 당시 공천 파동을 잠재우기 위해 스스로 불출마를 선언했던 강재섭 전 대표는 여전히 국무총리직에 대한 기대를 버리지 않고 있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 수원 장안 출마로 방향을 틀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역시 이 지역 출마설이 도는 민주당 손학규 전 대표와 빅매치가 펼쳐질 수 있다.
미국 듀크대에서 연수 중인 민주당 정동영 전 의장의 출마설도 끊이지 않는다. 전주 덕진과 전주 완산갑이 거론된다. 그는 11일 뉴욕에서 열린 공개강연에서 출마 여부를 묻는 질문에 “깊이 생각해 보지 않았다. 내년에 중국으로 건너가 공부할 생각도 갖고 있다”며 말머리를 돌렸지만 출마 가능성 자체를 일축하진 않았다. 최근 한 지역신문과의 인터뷰에서는 재·보선 출마를 강하게 시사하기도 했다.
민주당 일각에서는 지난 대선 때 민주당 후보로 출마한 그의 정치적 위상을 볼 때 호남권보다 수도권, 재·보선보다 2010년 서울시장 출마로 승부를 봐야 한다는 견해도 만만찮다. 최규성 의원은 “우리 당이 스타 정치인이 없다는 말을 듣고 있는데, 정 전 장관이 당연히 복귀해야 한다”면서도 “서울시장에 출마하거나 수도권 재·보선에 출마하는 게 정도라고 본다”고 밝혔다.
김근태·신계륜 전 의원과 안희정 최고위원도 호시탐탐 원내 진입을 노리고 있다. 진보신당 심상정 전 의원은 최근 문국현 의원 지역구인 서울 은평을에 자주 모습을 보이고 있다.
박영준·곽승준 등 MB 측근 전진배치
정기국회 이후 내년 초 여권 지형을 새로 짜야 한다는 인력 재배치론도 힘을 얻고 있다. 그 연장선에서 MB 측근의 전진배치, 박근혜 전 대표와의 관계 개선, 당·정 일체 내각 등을 통한 ‘코어 그룹 형성론’과 ‘정면돌파론’이 잇따라 제기되고 있다. 내년 주요 국정목표인 공기업 개혁과 수도권 규제완화 등 국정 드라이브를 밀어붙이기 위해서는 능력과 충성도가 검증된 ‘최상의 멤버’로 전열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논리다.
이런 관점에서 박영준 전 청와대 기획조정비서관이나 신재민 문화부 차관이 청와대로 들어가 ‘강한 청와대’를 구축하고, 곽승준 전 청와대 국정기획수석은 대통령 직속 미래기획위원장을 맡아 공기업 개혁의 주도권을 쥘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연초 개각설도 끊이지 않는다. 홍 원내대표는 기회가 날 때마다 “내년은 MB 정부가 일할 수 있는 마지막이자 절호의 기회다. 여권의 역량을 최대한 가동하기 위해 청와대·내각과 권력기관을 새롭게 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내각이 재편될 경우 교체 여론이 우세한 강만수 경제팀에 대한 대대적 물갈이가 예상된다. 일각에서는 L·K·C 의원 등 일부 친박 의원의 입각과 홍 원내대표의 법무부 장관 기용 가능성을 언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