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정부질문>신탁대출 왜 적발 못하나-한보 특혜의혹 추궁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26일 경제분야 대(對)정부 질문에선 여야의 초점이 확연히 갈렸다.

야당의원들이 한보에 대한 대출특혜 비리와 진상규명을 집중 추궁한 반면 여당의원들은 한보사태 수습과 경제 살리기에 무게를 뒀다.

국민회의 박광태(朴光泰.광주북갑)의원은“이형구(李炯九)전산업은행총재가 검찰에서 대통령과 현철(賢哲)씨의 이름을 거론함으로써 무혐의 처리됐고,장명선(張明善)외환은행장은 로스앤젤레스지점장 시절 金대통령 장남 은철(恩哲)씨를 도와준 인

연으로 청와대 보호를 받고 있다는 얘기가 있다”며 진상규명을 촉구.

김충조(金忠兆.국민회의.여수)의원은“채권은행들이 동일인 여신한도 규제를 피하기 위해 대출금의 50%를 신탁대출해줬는데도 재정경제원.은행감독원이 이를 적발하지 못한 이유가 뭐냐”고 질책.

그는 또“한보사태는 부도를 막으려는 한보 비호세력과 부도로 반사이익을 누리려는 세력간 파워게임에서 후자가 승리한 것 아니냐”며 총리의 견해를 묻고“96년 12월 이후의 자금지원 경로와 결정자가 누구냐”고 추궁.

자민련 정우택(鄭宇澤.진천-음성)의원은“89년이후 한보철강의 부채가 급증했는데도 증감원이 한보철강에 대해 특별감리를 하지 않은 것은 직무유기”라며 경제부총리의 책임을 따졌다.

이수성(李壽成)총리는 李전산은총재의 귀가조치와 관련,“검찰이 한보에 대한 대출과정에서 금품을 수수했는지,대출청탁및 압력행사 여부를 조사했으나 범죄혐의가 없어 무혐의 처리한 것”이라며“외압의 실체를 밝혔기 때문에 귀가시킨 것은 아니

라고 보고받았다”고 짤막하게 답변했다. 〈이정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