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色'으로 승부 걸어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버드와이저.맥도널드.코카콜라등 미국을 대표하는 상표들은 모두붉은색을 기본색으로 하고 있다.미국인들이 좋아하는 붉은색을 활용해 마케팅에 성공한 사례들이다. 94년 호주에 진출한 대우자동차는 호주의 유명 TV연속극에 출연한 양치기용 개를 광고에 출연시켜 소비자들의 호감을 사는데성공,현지시장 진출 1년만에 10대 자동차 판매업체로 올라섰다. 노란색의 코닥필름을 제치고 일본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한 후지필름의 색상은 일본인들에게 편안한 느낌을 주는 초록색이다.이처럼 나라별로 좋아하는 색상이나 디자인.동물들이 다르고,이를 마케팅에 잘 활용하면 품질및 가격경쟁력 이상의 효과 를 볼 수도 있다고 한다. 실패한 사례도 있다.수년전 일본에서는 베네통.스와치등 화려한색상을 앞세운 손목시계가 대량 출하됐으나 작고 깨끗한 이미지를좋아하는 일본인들의 정서에 맞지 않아 판매에 실패했다. 맥도널드는 중국 진출을 앞두고 흰색 얼굴의 광대 마스코트를 내세워 홍보하려 했으나 중국에선 흰 얼굴이 죽음을 상징한다는 현지 마케팅 조사에 따라 마스코트를 바꾸는데 수개월이 걸리는등막대한 손실을 입었다.국내 K기업은 스리랑카인들 이 꽃무늬를 좋아한다는데 착안해 대형 꽃무늬 직물을 현지에서 생산했으나 판매에 실패했다.현지인들이 좋아하는 꽃무늬는.작은'것이었던 때문이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이같은 점에 착안해 세계 66개국을 대상으로 나라별 색상.무늬및 동물 선호도를 조사해 9일 발표했다.무공은“소비자에게 친근감을 줄 수 있는 색상.디자인등의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수출업체들이 현지인들 의 성향을 상품 개발 단계부터 적극 반영해야 할것”이라고 말했다. ◇색상=미국인들은 적색.황색.청색을 좋아하고 게으름을 상징하는 갈색은 싫어한다.캐나다에서는 재물을 상징하는 녹색이 인기.프랑스인들은 하늘색.흰색등을 좋아하며,이탈리아에서는 청색.진회색등을 선호한다.유럽국가 중에는 검은색을 기피하는 곳이 많다. 일본인이 좋아하는 색은 흰색.청색.초록색.금색등이며 청결과 금욕등을 상징하는 흰색을 특히 좋아한다.그러나 중국인들은 흰색이.죽음을 상징한다'며 기피한다. 〈유규하 기자〉*** 26면.커버스토리'로 계속 뉴질랜드인들은 청색.녹색은 좋아하지만 핑크는 나약하고 여성적 이미지 때문에 인기가 없다.남아공에서는 녹색 자동차는 사고가 많이 난다는미신 때문에 녹색을 싫어한다. 국가간 대립관계로 특정 색상을 기피하는 경우도 있다.캐나다는미국 성조기 색깔인 적색.청색을 싫어하며 그리스는 터키의 국기색깔인 적색을 기피한다. ◇디자인=북미지역은 유럽풍의 고풍스러운 디자인과 기하학적 무늬를,유럽에선 심플한 디자인과 대칭무늬.부드러운 곡선무늬를,아시아에서는 경박단소(輕薄短小)한 디자인(일본)과 용.대나무.꽃.한자문양(중국과 동남아),중남미에서는 꽃.물고 .새등 자연적인 무늬를 각각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국인들은 성조기 무늬인 별.선에 대한 선호도가 높지만 브라질인들은 어지럽거나 혼란스러운 것을 싫어하는 국민성 때문에 무늬없는 것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중동지역에선 아라비아풍 전통문양과 종교관련 문양이 인기. ◇동물=종교.문화.미신에 따라 좋아하는 동물에 차이가 나며 광고에 자주 등장하는 동물로 나라별 선호도를 가늠할수 있다. 유럽과 북미 국가들은 애완용 동물인 개.고양이를 특히 좋아한다.아시아지역에서는 개.곰.잉어.용.학등을 좋아한다.뱀.쥐등 혐오동물을 기피하는 것은 어느 나라나 비슷했다. 독수리는 미국과 멕시코인들이 좋아하지만 캐나다에서는.미국인들이 좋아한다'는 이유 때문에 싫어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