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전남도청 별관 철거냐 보존이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4면

문화관광체육부가 짓고 있는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내 옛 전남도청 별관이 광주의 쟁점으로 떠올랐다.

아시아문화전당은 광주 문화중심도시 조성의 핵심사업으로 국제건축설계경기 공모를 거쳐 6월 착공했다. 옛 도청의 본관 외관을 그대로 두고 주요시설물을 지하 10개 층 안에 집어넣은 지하 광장형태다.

하지만 5·18관련단체는 옛 도청 원형보존을 위한 공동대책위를 꾸리고, 별관 철거 철회를 요구하며 5개월 째 천막농성 시위 중이다. 대책위엔 5·18 때 도청에서 체포된 생존자 20여명도 참여했다.

대책위 측은 “옛 도청은 5·18 당시 최후의 격전지로 상징성이 높다”며 원형보존을 주장하고 있다. 이재춘(50) 대책위 집행위원장은 “도청 별관은 본관과 나란히 광장 분수대 전면에 자리한 건물로 벽돌 한 장이라도 빼 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문광부 문화중심도시추진기획단은 18일 오후 광주MBC공개홀에서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내 옛 도청 별관에 관한 시민대토론회’를 열어 돌파구를 찾겠다는 계획이다. 당초 도청 별관은 9월 중순 철거 예정이었으나 천막시위로 공사에 차질을 빚고 있다.

추진기획단은 5·18기념사업이 논의된 1994년 이후 5·18단체를 비롯한 시민단체와 20여 차례 협의과정서 별관철거 내용이 들어 있었는데 뒤늦게 ‘딴죽 걸기’를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문화전당 건축설계비용만 220억 원으로 재 설계할 경우 공사가 지연되고 수 백억 원의 추가비용이 발생해 국책사업이 표류할 지 모른다는 우려를 숨기지 않고 있다.

이병훈 추진기획단장은 “그 동안 5·18단체와 주고받은 문서를 포함해 관련 자료를 공개하고 시민들의 지혜를 모으겠다”고 말했다.  

천창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