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리포트>일본 통일한국 예측 논쟁 가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방위청.공안조사청등 일본 정부기관들의 올해 정세보고서는 북한에 체제붕괴같은 급격한 변화는 없으리라는 공통된 시각을 담고 있다.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단기적 관점에서다.21세기 초반께.통일한국'이 등장하리라는 장기예측은 여전히 유효 하다.
최근 들어 일본에서는 통일한국이 취할 국가노선에 대한 연구.
검토가 부쩍 활발해졌다.전문가들은 일반적으로 .한반도가 통일되면 남한사람들이 물밀듯 북한으로 들어가 동화정책을 추진할 것'이라는 예측에 회의적이다.미국은 통일한국에 불안을 느끼지 않게끔 사전에 조치하려 할 것이고,통일한국과 국경을 맞댈 중국.러시아도 미국을 상대로 같은 요구를 할 것이며,일본도 통일한국과의 관계설정 과정에서 최대한 자국 이익을 도모할 것으로 예상되는등 상황이 간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 전문가는 한국전쟁중 북한내 수복지역 통치문제를 두고 남한행정가를 파견하자는 한국정부와 북한사람에게 맡기자는 미국측이 갈등을 빚은 일을 상기시키면서“한국은 지금부터라도 통일한국의 노선에 관해 우방의 신뢰를 쌓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충고하기도 했다.
일본 전문가들 중에는 한반도 통일정부가 미국.일본을 제치고 중국에 접근하지 않을까 우려하는 시각이 많이 눈에 띈다.방위청내 방위연구소가 한반도 통일을 전제로 최근 마련한.2015년 장기예측'보고서는 이 점에서.통일한반도와 안보면에 서 협력하는일'을 중요한 대비책으로 들고 있다.
일본은 최근 한국의 국방력 증강계획이나 중국.러시아와의 잦은군사교류에 대해 미국처럼 드러내놓고 의구심을 표시하지는 못하지만 내심 미국에 공감하는 기색이 역력하다.지난해 도쿄(東京)를방문한 아미티지 전 미 국무부 차관보는 통일한 국이 미군 철수를 요구하거나 친중국 노선을 택할 가능성을 들며“그 때문에라도현재의 미.일 안보체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역설하기도 했다.
통일까지는 물론 그 이후에도 더욱 얽히고 설킬 것이 분명한 이 문제에 대해 한국도 논의를 더욱 활성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도쿄=노재현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