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필 총재와 연합' 김대중 총재 지분 왜 40%인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국민회의와 자민련이 권력분점형 대선전략 구도를 구체적으로 논의중인 사실이 전해지자 정치권에 한바탕 파문이 몰아쳤다.<본지11월22일자 1,4면 참조> 국민회의는“지금 그런 얘기가 나가면 손해(朴智元기조실장)”라는 반응과“공론화를 통해 야권에 관심을 모을 수 있다(文喜相특보단 간사)”는 쪽으로 평가가 나뉘었다.국민회의는 논의가 조기 공개돼 여권이 대선 전략을 새로짜지 않을까 다 소 우려하는 모습이다.자민련은 환영에 가깝다.
김종필(金鍾泌)총재는 22일 한 인터뷰에서“현재대로 가면 승산이 없다”며“(야권의 대선 구도)결정이 상식선에서 나야 한다”고 역설했다.
당내 TK세력들은 대구.경북등에 별도의 20% 지분을 인정하는 배분 방식에 깊은 관심을 보이면서도 야권내 논의구조에서의 소외를 우려하는 모습이었다.
신한국당의 김철(金哲)대변인은 22일“이른바 DJP(두金씨)연합의 성취여부에는 관심이 없다”고 짐짓 무관심한 표정을 지었다.그는“성취되면 공멸(共滅),성취 안되면 각멸(各滅)이기 때문”이라며 어떤 경우에도 이길 수 있다는 필승론을 강조했다.정치권의 가장 큰 관심은 국민회의측이.집권후 각료와 대통령 임명직 공무원의 40%만 차지할 생각'임을 처음 공식화한데 모아졌다. 이에 대해 조세형(趙世衡)총재권한대행은“50년만의 수평적정권교체 실현을 위해서는 비상한 각오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네번째 도전의 무게를 알고 실제 마음을 비운 걸로 봐달라는 것이다.남궁진(南宮鎭.광명갑)의원은“신규 등용인사.정 치인.호남출신 공무원등을 모두 합쳐도 요직의 40% 이상을 차지하기 어렵다”고 현실론을 개진했다.
재경위원인 이상수(李相洙.서울중랑갑)의원은“정부 유력기관은 중간간부도 호남출신 인사가 드물고,간혹 있어도 승진순번이 한참뒤여서 일부러 승진시키기도 어려운게 현실”이라며 동조했다.그러나 국민회의의.40% 정책'은 현실 정치의 역학 관계와 향후 정가의 이합집산(離合集散)을 겨냥한 비장의 카드란 견해가 유력하다. 총재의 한 측근은“김대중(金大中)총재의 인맥도 최소한 92년 김영삼(金泳三)총재의 인맥만큼은 된다”며“그러나.빈방'이 많이 있어야 큰 구도를 그리기 좋은 것아니냐”고 반문했다.
이 관계자는“金대통령은 3당합당때 여권내 지분 25%에서 시작해 지금은 이를 70~80%로 늘렸지만 한국 현실에서는 임기끝까지 절반선을 넘기지 않는게 보신책이자 성공의 조건”이라고 말해 이 부분에 대한 검토가 상당했음을 느끼게 했 다.

<이하경.김현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