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수대>金銅佛像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불상(佛像)의 양식은 본래 불교의 본고장인 고대 인도에서 비롯되어 중국을 거쳐 삼국시대 때인 6세기께 한반도에 들어왔다.
하지만 삼국시대의 불상은 세련미의 절정을 보여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불상으로 꼽히고 있다.나무.돌.쇠.흙 따 위의 재료로만들어졌지만 특히 금동(金銅)불상은 그 오묘하고 원숙한 아름다움으로 절로 찬탄을 자아낸다.
그 높은 가치와 뛰어난 예술성 때문에 국보로 지정된 금동불상이 분실되는가 하면 도둑맞았다가 되찾은 일도 있었다.한국전쟁 직전인 50년 5월 김재원(金載元) 당시 국립박물관장을 비롯한몇몇 전문가들이 문화재와 유적을 살피기 위해 광 주일원을 방문했을 때의 일이다.무등산 기슭의 고찰(古刹) 증심사(證心寺)가소장하고 있던 국보 제211호 「금동석가여래입상」과 제212호「금동보살입상」을 보기 위해 찾아갔으나 주지의 얘기인즉 그 일대에 공비 출몰이 심해 경찰서로 옮겨 보호하고 있다는 것이었다.일행은 곧 경찰서로 찾아가 금고속에 소중하게 보관돼 있던 두국보를 확인했지만 그것이 마지막이었다.한국전쟁중 행방불명돼버린것이다. 국보 제119호인 「금동여래입상」이 덕수궁미술관 전시실의 진열장에서 갑자기 자취를 감춘 것은 67년 10월24일 아침이었다.사방 60㎝ 유리곽 속의 불상이 놓였던 자리에는 범인의 메모쪽지만 남겨져 있었다.문화재관리국장에게 보내는 조롱조의 편지로 도난사실을 공개하지 않으면 밤 12시안에 반환하겠다는 내용이었다.범인은 오후 11시쯤 국장집에 전화를 걸어 불상을 한강철교 제3교각 침목 받침대 밑 모래밭에 묻었다고 털어놨다.불상은 그 지점에 정확하게 묻혀있었다.잃 어버려도 그만인 완벽한 범행이었는데 되찾았으니 다행이기는 하지만 그 진상은 아직까지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최근 한 고미술상이 중국에서 반입해온 「금동미륵보살반가상」은잃어버릴뻔 했던 「금동여래입상」과 여러모로 비교된다.반가상(半跏像)과 입상(立像)인 점이 다르지만 고구려시대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이 같고 무엇보다 높이가 16.2㎝로 똑 같다.알려진대로 북한의 국보급 진품(眞品)이 사실이라면 세계 불교미술의 걸작으로 꼽힐 만한 것이다.진품여부가 주목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