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별 입시요강 수정 불가피-黨政 종합생활 개선案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최근 논란이 거센 종합생활기록부에 대한 대책과 관련해 교육부와 신한국당이 잠정합의한 내용은 폐지 여부까지 거론됐던 종생부제도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문제점을 보완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것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대학별 종생부 요강 수정이 불가피해 5개월도 남지 않은 97학년도 대학 입시에 미칠 파장은 클수밖에 없다.
당정이 합의한 종생부 보완책의 뼈대는 석차백분율을 폐지하고 과목별 석차와 학업성취도를 병행 표기하되 대학입시에 활용하는 방법은 전적으로 대학 자율에 맡긴다는 것이다.
또 예.체능계는 성취도만을 표기하는 식으로 개선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는 교육부가 일선 고교의 「성적 올려주기」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내놓았던 1백등급제 석차백분율을 폐지하는 한편 당분간은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를 혼용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같은 방향으로 종생부 보완책이 확정되면 결국 대학 입시에서각 대학들이 더욱 무거운 짐을 떠 안게 될 수밖에 없다.
당장 많은 대학들이 97학년도 입시요강을 바꿔야 한다.물론 국.공립대의 종생부 반영비율 40%나 전형요소별 반영비율등 기본 골격까지 근본적으로 바꾸지는 않더라도 종생부 반영방법은 손을 대야 할 형편이다.
학업성취도로 종생부 교과성적을 산출하는 중앙대등 43개교를 제외한 서울.고려.연세대등 1백17개교는 석차백분율을 사용키로했기 때문이다.특히 예.체능계는 종생부에 학업성취도만을 기록하게 되므로 요강 변경이 필수적이다.
물론 고려대처럼 석차백분율을 이미 등급(9등급)으로 구분해 교과성적을 산출키로 한 대학의 경우 요강을 크게 고치지 않아도될 것으로 보인다.
특수목적고나 비평준화지역 명문고등 학교간 학력차를 반영하는 문제도 전적으로 대학에 맡겨져 각 대학들은 학교차 인정 기준을마련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된다.현재로서는 학교별 등급을 매길수 있는 평가지수가 없는 만큼 각 대학들이 과 거 진학관련 자료를 출신 고교별로 분석해 참고해야 할 판이다.
재학생 1백명 이하의 소수학교 문제도 별다른 대책이 없고,대학이 학생의 석차를 활용하든 특례 조항을 두어 전형을 하든 알아서 하도록 떠넘겨질 공산이 크다.
특히 새로운 종생부 보완책은 1백등급제의 철회와 동점자.동석차 인정으로 인해 「성적 올려주기」를 제도적으로 방지하기는 일단 어려울 전망이다.결국 시.도교육청등 교육기관의 지도.감독강화가 뒷받침돼야 할 것이란 지적이다.
다만 교육부는 현재 학기마다 내게 돼 있는 성적을 학년말에 한번만 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두 학기의 중간고사.기말고사등 4번의 시험 결과를 평균해 성적을 산출,동점자를 최소화한다는 복안이다.
특히 각 대학이 자체 전형자료를 토대로 「성적 올려주기」 혐의가 드러난 고교출신 수험생에게 불이익을 주는 방안에도 기대를걸고 있다.
이정민.김남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