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한강신도시도 첫 분양서 40% 미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경기도 김포 한강신도시의 첫 아파트 청약에서 분양 물량의 40%가 미달됐다. 전매금지 기간이 7년에서 3년으로 줄면서 모델하우스에 3만여 명이 몰렸지만 잔뜩 움츠러든 수요를 불러일으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금융결제원은 7일 우남퍼스트빌 1~3순위 청약에서 1193가구 중 481가구는 청약자가 없었다고 밝혔다. 7개 주택형 가운데 전용면적이 가장 작은 101.96㎡와 101.98㎡만 모집 정원을 넘었다. 나머지는 모두 미달됐다. 제일 큰 197.6㎡(6채)는 청약자가 한 명도 없었다. 업체 측은 6~7일 청약통장이 없어도 청약할 수 있는 4차 청약을 받았다.

김포 장기부동산 이석호 사장은 “인천 검단과 김포 한강신도시는 사실상 한 지역”이라며 “검단 신도시 확대 개발로 한 곳에서 45만 가구가 한꺼번에 쏟아지게 돼 가뜩이나 위축된 매수 심리가 더 얼어붙었다”고 말했다. 신도시 과잉 공급 우려가 청약 부진으로 이어졌다는 설명이다.

김포뿐 아니라 서울 인근 지역의 부동산 시장 침체는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용인·의정부·양주 등이 대표적이다.

김포 신곡리 길공인 이명숙 사장은 “전매제한은 완화됐지만 1가구 1주택 비과세 요건이 강화(3년 보유→3년 거주)돼 서울에서 다른 지역으로 옮기려는 수요가 더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가장 수요가 많다는 서울 강남권도 거래가 뜸하기는 마찬가지다. 중앙일보조인스랜드에 따르면 강남권의 지난주 아파트값은 전주보다 0.16% 하락했다. 지방은 이미 부동산 시장 침체가 지역경제를 위협하는 수준에 이르렀다. 지방의 미분양 아파트는 6월 말 기준 12만8000가구로 불어났다. 1995년 이후 가장 많은 규모다.

이 같은 시장 침체는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이미 건설사들은 집을 잘 짓지 않고 있다. 지어봐야 미분양만 늘어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1~7월 주택 인허가 건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2% 줄어든 15만5065가구였다. 대한주택공사를 비롯해 공공부문에선 건축 물량을 늘렸지만 민간 업체들이 워낙 몸을 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수도권은 표면적으론 인허가가 지난해보다 8.6% 늘었지만 올 초 ‘지분 쪼개기’를 노리고 집중적으로 지어진 다세대·다가구 주택을 빼고 나면 지난해만 못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도권 30만 가구 공급 목표를 채우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고성수(부동산학) 건국대 교수는 “지금 부동산 시장에서 가장 부담스러워 하는 것은 ‘정책의 불투명성’”이라며 “정부가 규제 완화에 대한 확실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해야 거래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은 “부동산뿐 아니라 전반적인 경기가 침체된 상태여서 정부 대책이 당장 효과를 내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수요가 살아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영훈·함종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