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중학입학생 5~10% 읽기.산술 아예 못해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프랑스의 중학교 입학생중 4분의 1이 기초적인 읽기와 산술능력이 크게 부족하다는 보고서가 나와 프랑스 사회에 충격을 주고있다.프랑스 교육부는 2일 초등학교 3년생과 중학교 입학생을 상대로 조사한 학업평가보고서를 통해 『읽기와 산 술 등 기초 수학능력을 모두 갖춘 중학 입학생은 40%에 불과하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중학교 입학생 10명중 한명꼴로 알파벳 순서는 물론 자신이 읽은 문장을 이해하지 못하며 23%는 덧셈.뺄셈.곱셈.나눗셈 등의 산술능력이 크게 뒤떨어진다는 것이다.5~10% 가량의 중학교 입학생은 아예 읽기와 산술력이 전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또 초등학교 3년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도 15%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단어의 뜻과 단순한 문장을 해독하지 못하며5명중 1명은 덧셈과 곱셈,특히 구구단을 모르는 것으로 조사됐다.산술능력 분야에서는 3분의 2가량이 단순 덧셈은 소화해냈으나 뺄셈과 곱셈을 능숙하게 계산하는 학생은 12%에 불과했고 이를 응용한 문제를 풀 수 있는 학생은 겨우 7%였다.
한편 프랑스의 초.중등 학생중 졸업장도 없이 학교를 그만두는숫자는 연간 6만5천명에 달해 이들이 소외 계층을 형성하며 범죄 등 사회적인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보고서도 있다.
이에 따라 프랑스 정부는 현행 초등학교 5년에 중.고등학교 3년 등 11년으로 돼 있는 초.중.고등 학교의 학제를 개편하고 핵심과목을 중심으로 교과 과정을 축소하는 교육개혁안을 마련하는 작업에 최근 착수했다.
프랑스 정부는 또 인재양성을 위해 자동입학을 보장하고 있는 대학의 입학제도를 선발제로 바꾸는 방안도 검토하는 등 교육개혁안이 마련되는 대로 국민 투표에 부칠 예정이다.
파리=고대훈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