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월반제 과제 많아-올해 첫 시행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올해부터 초.중.고교에서 첫 시행되는 월반제(조기진급.졸업제)가 「기대반 우려반」속에 학교별로 조기이수 대상자 선정 절차에 들어가면서 첫 발을 내디뎠다.
교육부 잠정 집계에 따르면 3,4월중 월반제 실시 계획서를 제출,교육청 승인을 받은 학교는 서울 48개교(중학교 4개교,초등학교 44개교)등 전국에서 2백여개교에 이른다.이중엔 경남12개교,전북 1개교 등 13개 고교도 포함돼 있다.
이들 학교는 시.도에 따라 5월말까지 학생.학부모의 동의를 거쳐 조기이수 대상자를 선정,다음 학년의 전교과목에 대해 조기학습을 시키고 수시로 조기이수 인정 평가를 실시,학년말까지 전교과목 인정을 받은 학생들에 한해 학년별 학생수의 1%범위내에서 월반을 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들 학교가 올해 제대로 월반제를 시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대상자 선정에서부터 적절한 조기학습 프로그램 마련에 이르기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우선 대상자 선정에서부터 차질이 우려된다.학교는 월반제 취지에 공감,실시 승인을 받았으나 정작 당사자인 학생들은 월반을 위한 조기이수 신청을 주저하는 경우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서울 언남초등학교의 경우 4월말까지 1차로 대상자 선정을 마치도록 돼있으나 신청자가 한명도 없어 올해 시행이 불투명한 형편.여의도초등학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 학교 교무주임 鄭모 교사는 『일단 승인을 받아놓아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승인을 받았지만 현재까지 신청 학생이전혀 없어 올해 시행은 단념해야 할 형편』이라고 말했다.
서울 윤중중의 경우 1학년 7명이 조기이수를 신청했으나 지능지수 140이상.교과성적 상위 1%이내 등 선정기준에 적합한 학생이 1~2명에 불과할 것으로 학교 관계자는 보고 있다.
조기이수 대상자로 선정된 학생의 다음 학년 교육과정 이수를 위한 학습 프로그램 마련도 큰 문제.학교장이 자체 계획을 수립해 실시하도록 돼있으나 대부분의 학교들이 자학.자습을 시키는 방법외에 별다른 대책이 없는 상태다.
처음 시행되는 탓에 축적된 선례가 없기도 하지만 보충수업 등특별지도를 하기에는 교사부담이 너무 커지는 등 현재의 학교 여건으로는 어쩔 도리가 없다는 게 학교측 설명이다.
이에따라 서울시교육청의 경우 5월초 해당 학교 교무.연구주임등 담당교사 연수를 실시,능력별 이동 수업.상급학년 수업참관.
심화학습자료 제공 등 다양한 학습프로그램에 대해 연구토록 하는한편 학교간 정보교환을 유도할 방침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앞으로 월반제 실시 학교들의 경험이 축적되고 계속적인 제도 보완이 이루어짐에 따라 바람직한 영재교육 제도로 정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남중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