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 파병, 贊 44.8%·反 12.6%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17대 국회의원 당선자의 60.9%는 16대 국회가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을 통과시킨 게 잘못됐다고 응답했다.

향후 처리방법에 대해서는 헌법재판소의 심판에 맡기고 정치권은 그 결정에 따라야 한다는 의견(50.9%)과 철회 의견(49.1%)이 팽팽히 맞섰다. '무조건 철회'는 42.6%, '盧대통령의 사과를 전제로 철회하는 게 좋다'는 6.5%였다. 탄핵 가결이 '잘된 일'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25.2%였다.

이 같은 사실은 중앙일보가 15일 밤과 16일 이틀에 걸쳐 지역구 및 비례대표 당선자 299명 중 230명을 대상으로 전화 설문조사한 결과 드러났다. 나머지 69명은 설문에 응하지 않거나 연락이 되지 않았다.

응답자는 열린우리당이 119명, 한나라당 93명, 민주노동당 8명, 민주당 6명, 자민련 3명,무소속 1명이다.

탄핵 문제의 처리방법과 관련, 열린우리당 소속 당선자의 86%(103명)는 '무조건 혹은 조건부로 철회해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한나라당 당선자의 98%(91명)는 '헌재의 결정에 따라야 한다'고 답해 양당 간에 뚜렷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이라크 추가 파병 문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절반에 못 미치는 44.8%가 '예정대로 보내야 한다'고 대답했다. 다음으로는 '17대 국회에서 다시 논의해야 한다'(38.3%), '보내지 말아야 한다'(12.6%)의 순이었다.

자신의 '이념성향이 어디에 속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39.5%는 중도 진보 또는 진보, 35.6%는 보수 또는 중도 보수라고 응답했다. '중도'라는 응답은 23.5%였다.

2002년 중앙일보가 16대 국회의원 273명을 상대로 조사한 이념 및 성향분석에선 40%가 진보, 33%가 보수로 조사됐다. 당시 '중도'라고 답한 사람은 27%였다. 국가보안법의 개정과 관련, '법 개정을 통해 완화해야 한다'는 입장이 65.2%(150명)로 가장 많았다. 24.8%(57명)는 아예 '전면 폐지해야 한다'고 답변했으며, 모두 열린우리당(49명)과 민주노동당(8명) 소속이었다. '현행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은 8.3%(19명)로 조사됐으며 '더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1명)도 있었다.

국가보안법은 '반국가단체'규정과 '찬양.고무'조항 등이 공권력에 의한 부당한 인권 침해를 낳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면서 정치권에선 폐지와 개정, 대체입법을 둘러싸고 논란을 벌여왔다.

이정민.우정훈.김은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