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부실거래자' 나부터 확인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모회사 A과장은 급한 대출이 필요해 거래은행을 찾았다가 깜짝놀랐다.자신이「불량(不良)거래자」로 블랙리스트에 올라있어 대출이 안된다는 응답을 받았기 때문이다.
자세히 알아보니 몇년 전 동네 상호신용금고에서 빌린 돈 이자가 얼마 연체돼 있는데,이 때문에 블랙리스트에 올랐다는 것이다.작년까지는 새마을금고나 투금사등 제2금융권에서 돈을 못갚아도은행 이용에는 별 지장이 없었다.
그러나 올해부터 은행연합회가 챙기는 신용정보 관리 대상이 제2금융권까지 확대되면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 A씨처럼 신용이 나쁜 사람이 되는 경우가 속출하고 있다.
1월말 현재 은행연합회의 금융 부실거래자는 1백20만명.작년초(1백만3천명)에 비해 20%나 급증했다.이들은 부실 정도(주의.황색.적색 거래자)에 따라 대출 중단등 금융거래에서 규제를 받고 있다.
이는 지난해 기업 부도가 많았던데도 이유가 있지만 무엇보다 블랙리스트 대상이 제2금융권으로까지 확대됐기 때문으로 금융계 관계자는 분석하고 있다.금융기관들은 부실 거래자로 등록하기 전에 당사자에게 이 사실을 통고토록 돼있지만 연락이 제대로 되지않는 경우도 있다는 것.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학창 시절 졸업후 갚는 조건으로 신협에서 학자금을 융자받고는 잊고 있다가 부실 거래자가 돼 불이익을 당하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오대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