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전자신문의 미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인터네트 전자신문의 종착점은 어디일까.전문가들의 견해도 완전히 정리돼 있지 않다.종이신문이 소멸할 것이라는 진단도 있지만별도의 효용가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란 견해가 더 설득력 있어 보인다.분명한 것은 전자신문의 기능이 복합적으 로 변신해 나갈 것이란 점이다.중앙일보 인터네트 전자신문은 국내 효시란 타이틀에 걸맞게 앞으로 변신의 선두주자 자리도 지켜나갈게 확실하다. 그 흐름은 「뉴스 제공→주문형 뉴스 제공시스템→정보 관련 전자상거래→오락개념 도입」순이다.주문형 뉴스공급은 독자가 미리 지정해준 정보를 인터네트 네트워크로 전송해 준다.이는 유료화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구독자는 그 정보를 스스로 편집해 신문유형으로 출력시켜 볼 수도 있다.「나의 신문」(The Daily Me)이 출현하는 셈이다.그것이 하나의 조직에서 행해진다면 「우리 신문」(TheDaily Us)이 된다.
다음 단계는 정보를 거래로 이어가는 전자상거래(EC)의 실현이다.가령 뉴스에 수록된 상품을 바로 온라인 주문할 수 있고 인력모집 광고페이지를 통해 바로 원서를 접수시킬 수 있을 전망.영화.음악회 소식과 연계해 예약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도 물론이다. 그 시기는 빠르면 97년부터 부분실현될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오락개념이 도입되면 일단 전자신문의 기능은 완결된다.
외부 방송사.영화사와 연계해 온라인으로 게임.비디오.영화등을 주문해 즐기는게 바로 그것이다.이런 유형의 멀티미디어 서비스가전자신문의 최종 목표일지도 모른다.
허의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