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人士 영입 싸고 與 파열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신한국당(가칭)내 이념논쟁이 재연될 조짐이다.보수 정서의 민정계 의원들이 문제를 제기했다.영입인사로 거명되는 재야 인사중일부의 이념성향에 대해 의문을 표시하고 있다.민정계 의원들은 익명을 전제로 『개혁인사와 좌파인사는 구분해야 한다』며 편치않은 심사를 드러내고 있다.
이 문제는 김윤환(金潤煥)대표가 4일 오후 김영삼(金泳三)대통령에게 주례당무보고를 하면서 당의 분위기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상황에 따라 공천정국의 최대 이슈로 확산될 전망이다.
민정계가 지목하는 사람은 영입대상으로 거론되는 이태복(李泰馥)전노동자신문발행인,최열(崔冽)환경운동연합사무총장등이다.일부에서는 본인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이재오(李在五)전민중당사무총장도거론한다.
이미 입당해 지구당위원장을 맡고있는 인사도 이번 논의가 확대될 경우 도마위에 오를 수 있다.민중당정책위의장 출신의 정태윤(鄭泰允)서울강북갑위원장,재야노동가 출신의 김문수(金文洙)부천소사위원장등이다.
이태복씨의 경우 81년 학림사건으로 불리는 전민학련사건에 관련돼 7년동안 수감됐었다.당시의 수사검사가 안강민(安剛民)현 중수부장이다.李씨는 검찰로부터 국가보안법상 반국가단체의 수괴혐의를 받았다.출소후 노동자신문을 만들어 운영하며 현대노사분규의비공식 절충역을 자임하는등 활발한 활동을 보였다.
최열씨는 유신시절 명동성당사건으로 구속,실형을 선고받았다.이후 일관되게 환경운동가의 길을 걸어왔다.崔씨의 정치입문에 대해서는 환경단체쪽에서도 찬반이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이재오씨는 민청학련 사건으로 구속,수감됐다.지난 총 선때부터는 제도 정치권 진입을 시도,민중당의 지도부로 활동해왔다.
서울의 한 민정계 3선의원은 『같은 당 후보라면 최소한도의 이념적 공감대는 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다』며 『우리당이 개혁과 진보를 혼돈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다른 의원은 『이념적으로 좌파인 사람들이 마치 깨끗한 인물인 것처럼 오도하는 것 자체가 잘못됐다』고 말했다.
박주천(朴柱千)의원같은 사람은 『운동권쪽에 있었다고 해서 선명의 대명사처럼 보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개혁성향 인사는 참신.깨끗하고 우린 더럽다는 말이냐(서울의 다선 K의원)』는 불만도 있다.
민주계에 속하는 서울의 P의원은 이들을 「생판 못본 사람」이라며 『이들은 중간 당직이라도 해보면서 사상적 검증을 받아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사실 이태복씨와 정태윤.김문수씨등은 재야 인맥중 현재 민주당에 몸담고 있는 장기표(張琪杓)씨 계열로 분류된다.
그러나 일부 인사의 경우 문제가 있다는 것은 민주계 내부에서도 인정하는 편이다.당초 영입대상자였던 여익구(呂益九)전민불련의장이 불참의사를 밝힌 것도 민주계 내부의 이런 기류와 유관하다는 전언이다.
김현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