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정부 개혁과제까지 반대 투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촛불집회가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에서 ‘대정부 투쟁’으로 치닫고 있다. 촛불집회를 주최해 온 광우병 국민대책회의는 13일 앞으로 집회를 공공부문 민영화 등 정부 정책 전반을 반대하는 투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대책회의 관계자는 “광우병 논란뿐 아니라 의료·공기업 민영화, 물 사유화, 교육 개혁, 대운하 건설, 공영방송 사수 등 5대 의제를 결합해 촛불집회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책회의가 제시한 5대 의제는 대운하 건설을 제외하곤 현 정부의 핵심 개혁 과제다.

이에 대해 일부 시민과 네티즌들은 “촛불집회가 변질되고 있다. 순수한 국민을 선동하지 말라”며 반발하고 있다. 보수단체들은 “국정을 뒤흔들려는 붉은 홍위병”이라며 비난했다.

대책회의는 13일부터 매일 서울시청 앞 광장을 중심으로 촛불집회를 이어갈 예정이다. 14, 15, 18, 21일은 ‘집중 촛불집회’로 정해 대규모 시위를 계획 중이다.

앞서 대책회의는 10일 발표한 호소문에서 “20일까지 정부가 전면 재협상을 수용하지 않으면 정권 퇴진 운동에 들어갈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날 오후 7시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린 ‘37차 촛불문화제’엔 1만5000여 명(경찰 추산)이 참가했다. 미군 장갑차 사고로 숨진 고(故) 효순·미선양의 6주기인 이날 집회엔 진보연대·민주노동당·전국노점상연합 등 단체와 대학생, 일반 시민 등이 참여했다. 오후 9시쯤 참가자 5000여 명(경찰 추산)은 세종로 네거리에서 여의도까지 7㎞가량 도로를 따라 행진한 뒤 KBS 본사 앞에서 ‘정연주(KBS 사장)를 지켜내자’는 등의 구호를 외쳤다. 일부 참가자는 한나라당 당사 인근에서 항의시위를 벌였다. 반면 이날 자유시민연대 등 보수단체 7000여 명은 서울역 광장에서 맞불집회를 열었다. 참가자들은 여의도 KBS·MBC 본사를 찾아가 “광우병 쇠고기 편파방송을 중단하라”고 요구한 뒤 두 방송사 관계자를 면담하고 해산했다.

다음 아고라와 대책회의 홈페이지 등엔 촛불집회가 대정부 투쟁과 연계되는 것을 반대하는 글이 이어졌다. “자꾸 촛불집회를 정치적으로 몰려고 하는지 모르겠다. 순수한 국민을 선동하지 마라(‘2cjftn)”는 지적이 쏟아졌다.

천인성·이진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