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기 화가 작품, 품귀 현상 가속화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인터넷 경매를 통한 미술품 판매가 미술품 애호가들의 입소문을 타고 있다. 미술품 애호가들 간에 다양하고 많은 미술품 정보를 공유하는 미술품투자카페(http://cafe.naver.com/investart)에서는 화랑, 오프라인 경매사, 국제아트페어, 전시회 등에서 구입하는 경우의 작품 가격과 인터넷 미술품 경매(www.porart.com)를 통하여 구입하는 경우의 작품 가격의 차이가 공개되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특히 한국을 대표하는 원로화가, 인기 화가, 북한 유명 화가, 해외 유명화가들의 작품 가격이 비교되면서, 검증된 작가들의 작품을 인터넷 경매를 통하여 대부분 오프라인 시장의 1/5 가격에 구입할 수 있다는 점이 알려지며 인기화가, 원로화가 작품들의 품귀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인터넷 경매를 진행하는 포털아트 측은 “지금까지는 인기화가나 원로화가가 소장하여 온 재고 작품과 신작을 함께 소개하였지만, 최근 대부분의 인기화가 및 원로화가들의 재고 작품이 소진되어 신작 중심으로 소개됨에 따라 공급이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포털아트가 밝힌 자료에 따르면 한달 전에는 하루에 10점 이하의 작품이 경매상한가인 즉시구매가에 판매되었다. 지난 5월 2일 하루 동안 즉시구매가에 낙찰된 작품 수는 6점이었고, 3일에는 한 점, 4일에는 3점, 6일에는 9점, 7일에는 3점, 8일에 2점 정도가 낙찰되었다. 하지만 지난주 결과는 다르다. 5월 27일에 24점이 경매상한가인 즉시구매가에 낙찰되었고, 28일에는 21점이, 29일에는 22점이 경매상한가에 낙찰되었다. 6월 2일에도 경매상한가에 낙찰된 작품수는 22점이나 된다. 위와 같은 결과는 포털아트 홈페이지 ‘즉시구매가 낙찰작품’ 보기(http://www.porart.com/auction_directly_done.php?page=1)에서 확인할 수 있다.

품귀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경매상한가 입찰자를 대상으로 추첨을 통하여 낙찰자를 정하자는 의견까지 나오고 있다. 인터넷 경매를 통하여 작품을 구입하고 있는 한 회원은 “경매준비로 들어가면 즉시구매가로 입찰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니, 마음에 드는 그림이 있다 해도 컴퓨터 앞에 앉아서 기다리지 않으면 금방 경매종료가 되는 그림들이 많이 나타난다.”라며 “경매 시작하는 점심시간대에 시간을 놓치는 경우가 허다하다. 예전처럼 즉시구매가로 서면입찰 해도 추첨을 통해 낙찰자를 결정하는 방식이, 나처럼 바쁜 사람에게 기회를 주는 방법이 아닐까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에 대하여 포털아트 측은 “추첨을 통하여 하는 경우도 실제적으로는 문제가 똑같다. 추첨을 통하는 경우 한 작품에 경매상한가로 입찰하고자 하는 분들이 몇 명만 되어도 실제 입찰자는 10명 이상이 되어버린다. 추첨에서 당첨될 확률을 높이기 위해 한 사람이 몇 명의 이름을 동원해서 같은 작품에 입찰을 하기 때문이다.”라며 “추첨의 방법도 회원들이 더 불편을 겪을 수 있는 문제를 만든다. 유일한 방법은 경매상한가를 없애고 경매를 하는 방식인데, 문제는 이렇게 하면 가격이 너무 올라가 버린다.”라며 이해를 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듯 회원들의 열띤 호응 속에 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포털아트는 현재 화랑협회에 등록된 모든 화랑이 판매하는 작품 수보다 더 많은 작품을 매월 판매하고 있다. 포털아트 측은 이러한 작품 판매량과 인기 비결을, ▶한국을 대표하는 원로화가, 국전 운영위원장 및 심사위원장, 국전 대상작가, 특선작가, 예술대 학장 역임 작가, 미대 교수 역임 작가 등 검증된 작가들의 작품 대부분을 오프라인 시장의 20% 이하의 가격에 구입할 수 있고, ▶출처가 명백하고 위작시비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였으며, ▶오프라인을 통해 구입한 작품은 대부분 다시 팔 수 없지만, 포털아트에서 구입한 작품은 1~2년 감상한 후 언제든지 다시 팔 수 있는 환금성이 보장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밝히고 있다. 조인스닷컴(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