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핵심서도 의심의 눈길-비자금說 파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전직대통령 비자금」문제가 19일 민주당 박계동(朴啓東)의원의 국회발언으로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두달전에는 서석재(徐錫宰)전총무처장관의 4,000억원설,비슷한 무렵 함승희(咸承熙)전검사의 정치권 거액비자금 주장이 터졌다. 최근에는 국민회의 김원길(金元吉)의원의 선경.동방유량관련설 등이 꼬리를 이었다.
비자금설 시리즈중 서 전장관의 발언에 대해서만 검찰수사가 이루어졌을 뿐 다른 설은 당국의 객관적인 조명을 받지 못했다.
그래서 설은 자꾸 설을 낳고 의혹과 의심의 안개만 짙어지고 있다. 당사자인 전직대통령들은 설을 완전 부인하지만 야당.재야.상당수의 국민,그리고 여당의 일부조차 이를 믿지 않고 있다.
민자당 민주계 핵심중진의원이 18일 기자들에게 『전직대통령 비자금에 대해 정확히는 알지 못하고 있지만 대통령을 지낸 사람에게 비자금이 있을 수는 있을 것』이라고 말할 정도다.
정부는 구체적 혐의없이는 수사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그래서 비자금이란 수수께끼는 여지껏 해법을 못찾은 채 유랑하고만 있다. 그런 와중에서 박의원의 주장은 구체적인 은행.계좌.일시.액수.관계자 신원에다 심지어는 「잔고증명서」까지 갖추고 있어 상당한 시선을 끌고 있다.
박의원은 『제보와 증언을 통해 실체를 확인했다』고 주장하고 있다.그는 홍인길(洪仁吉)총무.한이헌(韓利憲)경제.김영수(金榮秀)민정이라는 청와대실세수석들의 이름까지 관련짓고 있다.
파문은 즉각 「관례적인」 반응을 불러왔다.야3당은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청와대와 연희동은 『아무리 국회의원의 면책특권이라지만…』이라며 참으로 어이없다는 표정이다.
박의원의 「100억원수표 40장」설은 오히려 빠른 시일안에 쉽게 진위가 가려질 전망이다.박의원은 3명의 예금주와 1개의 계좌번호를 증거로 제시했다.
이런 부분에 대한 당국의 조사는 기술적으로 어려울게 별로 없어 설의 실체가 곧 밝혀질 것으로 관측통들은 분석하고 있다.
이홍구(李洪九)국무총리는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당국의 조사」를 시사했다.현재의 청와대.정부내 분위기로 볼때 조사는 곧 진행될 것같다.이총리는 『서 전장관 발언 당시 16명과 20여개금융기관을 조사했는데 단순한 풍설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정부조사결과 일부라도 사실로 드러나면 이는 5.18문제로 잔뜩 달아있는 정국에 엄청난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전직대통령의 도덕성에 대한 국민반감이 한계수위에 다다를 것이기 때문이다.
반대로 어이없는 풍설이나 허위로 밝혀지면 국회의원.야당의 권위와 우리사회의 비자금문제 제기방식은 상처를 입게된다.
다만 박의원은 국회발언의 면책특권을 가지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