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타운 진화 나선 정치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총선에서 뉴타운 추진을 공약했던 후보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한나라당 후보들은 “뉴타운은 지역구민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당연한 공약”(신지호 당선인·도봉갑)이라거나 “조례로 있던 법을 도시재정비촉진법으로 만든 것이므로 국회의원이 할 수 있는 공약(정태근 당선인)”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통합민주당 후보들의 반응은 복잡했다. 같은 당이면서도 당선된 후보와 낙선한 후보 간에 뉴타운 논란을 바라보는 시각이 달랐다. 강북의 한 낙선자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뉴타운을 지정할 여건이 안 된다고 미리 발표했어야 했다”고 주장한 반면, 한 당선인은 “뉴타운은 당과 상관없이 개인의 추진 능력에 달려있는 공약”이라고 주장했다.

▶장광근(동대문갑 당선인·한나라당)=“내 공약은 4차 뉴타운 사업에 청량리를 포함시키겠다는 것이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당분간 추가 지정이 없다고 한 것은 ‘당분간’일 뿐 영원히 안 한다는 것은 아니다.”

▶정태근(성북갑 당선인·한나라당)=“국회의원이 구청장이나 시장과 업무를 협의하는 게 잘못된 것이냐. 뉴타운은 도시재정비촉진법에 의해 추진되는 것으로 이 법은 서울시와 건교부가 동시에 만든 것이다.”

▶홍준표(동대문을 당선인·한나라당)=“강남 집값의 거품이 많아 부동산 가격이 왜곡됐다. 뉴타운 지정으로 강북의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것은 당연하다. 현 정부의 방침이 강북 대개발인 만큼 뉴타운 공약은 허위 공약이 아니다.”

▶구상찬(강서갑 당선인·한나라당)=“반드시 우리 지역이 뉴타운이 돼야 한다고 생각해 공약한 것이다. 주거문제를 한꺼번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뉴타운뿐이다. 지역주민들과 약속을 했으니 지금부터 서류를 들고 뛰겠다.”

▶김성순(송파병 당선인·민주당)=“국회의원은 이념 문제나 국방·외교 문제만을 다뤄야 하느냐. 자기 지역구의 이익을 위해 봉사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뉴타운으로 주거환경 개선하는 데 앞장서겠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전병헌(동작갑 당선인·민주당)=“여야 모두 뉴타운 공약을 한 마당에 공약 자체가 문제가 되는 게 아니다. 다만 오 시장에게 약속받았다고 허위 사실을 유포한 것은 잘못이다.”

▶김덕규(중랑을 낙선인·민주당)=“한나라당이 뉴타운 공약을 선거 때마다 이용하고 있다. 뉴타운으로 지정한 뒤 실제로 건설을 추진하지 않아 총선 때마다 공약으로 나온다.”

▶김영주(영등포갑 낙선인·민주당)=“서울시장이 한나라당 출신인데 뉴타운 공약이 어느 당에 유리했을지는 불 보듯 뻔하다. 뉴타운 공약이 개발에 대한 기대가 높은 강북 지역의 판세를 뒤집었다.” 

김경진·이정봉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