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례대표는 평균 재산 ‘역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비례대표 후보의 평균 연령은 53.1세다. 전문성과 상징성 때문인지 지역구 후보(51.8)보다 다소 높았다.

각 당은 26일 모두 190명의 비례대표 명단을 발표했다. 한나라당(49명)·통합민주당(31명)·자유선진당(20명)·친박연대(15명)·창조한국당(12명)·민주노동당(10명) 순이었다. 정당 지지율에 따라 이들 중 54명만 배지를 단다. 3.52대 1의 관문을 뚫어야 하는 셈이다.

◇재산은 통합민주당 1위=비례대표의 재산 순위는 지역구 양상과 정반대였다. 통합민주당이 30억68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정몽준 후보를 뺀 한나라당 후보들의 평균과 비슷하다. 친박연대 후보들이 23억6100만원, 자유선진당 후보가 22억70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한나라당 비례대표 후보들의 재산은 ‘불과’ 17억9900만원에 그쳤다. 이명박 정부는 내각 인선 과정에서 ‘강부자(강남 땅 부자)’ 파동을 겪었다. 당 관계자는 “비례대표 인선 과정에서 재산 문제에 많은 신경을 썼다”고 토로했다.

재산 상위 양상도 지역구 후보들과 판이했다. 통합민주당 6번인 정국교 후보가 502억원의 재산을 신고, 가장 부자였다. 뒤를 이어 판사 출신인 자유선진당의 이영애 후보가 109억원을 신고했다. 10위권 내 한나라당 후보는 무학(無學)의 자수성가형 기업가 출신인 임동규(20번, 80억원) 후보가 유일했다.

정당별 납세액 순위는 또 달랐다. 자유선진당 후보들은 5년간 평균 1억8691만원, 평화통일가정당은 1억8138만원, 한나라당은 1억2757만원을 냈다.

반면 민주당 후보들의 평균 납세액은 8412만원에 그쳤다. 납세액 1위는 한국씨티은행 부행장 출신으로 당 대변인에 영입된 조윤선 후보로 28억원을 냈다.

체납한 적이 있는 후보는 25명으로 신고 당시 한나라당 최경희 후보만 완납하지 못했다(938만원).

◇필리핀 출신도 비례대표=비례대표 중 전과 기록을 가진 후보는 10명이다. 진보신당 후보가 3명으로 가장 많았다. 농민운동가 출신인 문경식 민주노동당 후보는 네 차례의 전과 기록이 있었다. 한나라당 후보 중 2명, 통합민주당 후보 중 한 명에게도 ‘꼬리표’가 달렸다.

남성 후보 107명 중 23명이 군 면제를 받았다(21.5%). 지역구 후보자의 면제 비율(17.9%)보다 높은 편이었다. 장애인과 소외계층을 배려한 때문으로 보인다.

비례대표 후보 중 절반가량이 석사 학위 이상 소지자였다. 박사 학위 소지자는 22.6%, 석사 학위 소지자는 23.7%였다. 반면 초등학교만 나온 경우도 민노당의 문경식 후보와 환경미화원 출신인 홍희덕 후보, 한센병을 앓은 한나라당 임두성 후보 등 세 명이었다.

창조한국당은 영어학원 강사인 36세 여성 헤르난데스 주디스 알레그레를 7번으로 공천했다. 필리핀 출신으로 한국인과 결혼했다.

친박연대의 경우 비례대표 1번으로 30세의 전 ‘박사모’ 여성회장인 양정례 후보를 공천했다. 당초 한나라당 문희 의원을 공천하려 했으나 문 의원이 고사하는 바람에 급히 물색했다고 한다.

남궁욱 기자

[J-HOT]

▶ [호남격전지판세] '무소속' 한화갑·박지원·김홍업 모두 밀려…

▶ 수도권, 민주 "34석" 한나라 "70석 예상"

▶ 4·9총선 '스타트'…"MB 100일 1차 심판의 성격"

▶ 헉! 전과 5범, 마약 관련 전과 후보도 있네…

▶ "박 전 대표는 참고 참아서 한마디 한 것"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