酒精用 쌀공급 내년 중단-對北지원영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북한에 최소한 15만t의 쌀을 공급키로 함에 따라 일부에서 공급이 달리고 시중 쌀 값이 오를 가능성이 예상되자 정부는 내년부터 주정(酒精)용 쌀 공급을 중단하는가 하면 쌀값 안정을 위해 농협을 통한 공매(公賣)물량을 늘리기로 하는등 종합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그러나 주정용을 포함한 가공용 쌀 공급이 중단되거나 줄어들면식혜나 쌀과자,탁.약주 제조업체 등이 타격을 받게될 것으로 예상돼 업계가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농림수산부 고위 관계자는 22일『내년부터 주정용 쌀 공급을 중단하는 한편 가공용 쌀 공급을 점차 줄여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이와함께 쌀 적정 재고 확보를 위해 중장기 수급문제를 종합적으로 재검토하는 작업에 나섰다.
정부가 이같은 대책을 마련한 것은 당초 예상보다 북한에 한꺼번에 보내야할 쌀의 양이 많아진데다 내달중으로 예정된 2차 협상을 통해 쌀을 추가로 보내야 하는 상황이 생겨날 수도 있다는판단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 91년 정부미 3만섬을 처음으로 주정용으로 공급한데 이어 92,93년에 각 1백만섬,94년 75만섬이 공급됐으며,올해는 모두 30만섬으로 예정돼 있다.
한편 재경원은 지난 15일 현재 쌀값이 작년말에 비해 3.4%(통계청 조사 소비자물가)오른데 이어 최근 베이징 쌀 회담 소식이 전해지면서 일부 지역에서 가마당 2천~4천원씩 뛰는 조짐을 보이자 내달 중 방출량을 늘리기로 했다.
이를 위해 금주 안에 공매 공고를 내 7월6일에 6월(40만섬)의 두배에 가까운 80만섬 정도를 공매키로 했으며 92,93년산과 94년산을 함께 팔 방침이다.
한편 업계는 정부가 가공용 쌀 공급을 줄일 경우 일반미나 수입 쌀을 쓸수밖에 없어 원가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자 대책마련에 나섰다.
〈경제부.유통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