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니아 유엔군 어떻게되나-적극 대응 허용 역할 강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보스니아 사태가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보스니아에 파견돼 있는 2만4천여 유엔보호군(UNPROFOR)의 임무가 단순한「평화유지」차원을 넘어「평화강요」차원으로 강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세르비아系가 3백67명의 유엔군및 유엔요원을 인질로 잡고 서방세계와 대치하고 있는 이상 유엔군의 임무를 수동적인 평화유지역할로 한정할 수 없다는 주장이 점점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최소한 자위(自衛)와 적극 대응이 가능한 수준으로 유엔군의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직접적 계기를 제공한 것은 프랑스의 단호한 철군 위협이다.4천2백명을 파견,가장 많은 병력을 파견해 놓고 있는 프랑스는 유엔이 보스니아 주둔 유엔군의 권한을 즉각 강화하지 않으면『앞으로「수일내」철수할 수도 있다』(알랭 쥐페 총리) 고까지 위협하고 있다.
현재의 위험하고 복잡한 상황을 고려할 때 프랑스의 철군이 현실적으로 가능할지 미지수다.그러나 지금까지 보스니아 평화유지 활동에서 주도적 역할을 해온 프랑스군의 철군은 보스니아 사태에대한 서방측 공동전선의 와해를 의미할 뿐만 아니 라 내전의 격화가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미국을 비롯한 각국은 프랑스의 입장을수용하지 않을 수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
미국은 28일 백악관 긴급 안보회의에서 이같은 방침을 정하고,북대서양조약기구(NATO)외무장관회의를 위해 네덜란드로 날아간 워런 크리스토퍼 장관을 통해 동맹국들에 이같은 방침을 설명하고,구체적 강화방안을 모색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 지고 있다.
프랑스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병력을 파견해 놓고 있는 영국은이미 6천2백명 병력 증파방침을 정하고 파병시기 결정만을 남겨놓고 있다.
또 미국과 프랑스도 항모(航母)를 아드리아海로 급파,투입에 대비하고 있다.인질로 잡혀 있는 유엔군에 대한 인명피해가 현실화하는 시점이 서방병력의 투입시기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앞서 필요한 것은 유엔의 유엔평화유지군에 대한 권한 강화 결정이다.이를 위해 유엔 안보리는 잇따라 긴급회의를열어 이 문제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유엔전문가들은 안보리 결정의 전제가 되는 것은 미국의 확고한파병 방침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아직까지 한명의 지상군도 현지에 파견하고 있지 않은 미국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를 통해 대규모 파병을 구체화할 경우안보리의 유엔군 권한 강화 결정이 바로 잇따를 것이라는 지적이다. 〈裵明福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