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인생기를살린다>27.중국의 氣功 上.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5면

중국 흑룡강성 하얼빈에서 활동하는 조선족출신 기공사 김효정씨가 중국기공의 현황에 대한 글을 보내왔다. 1928년 경남함양출생으로 14세때 중국으로 건너가 동북군정대학을 졸업,30년동안 흑룡강성 도서관에서 근무했고 흑룡강성기공 과학연구회로부터 기공사로 인정받아 정년퇴임한 90년부터 기공사로 일하고 있다.
이미중국의 저명한 기공사 왕리핑(王力平)의 전기를 일본어로 출간한 바있는 김씨의 글을 요약,두차례에 걸쳐게재한다.

<편집자 주> 중국에서 현대적 의미의 기공활동이 시작된 것은 80년대 초부터로 현재 중국내 기공 수련자의 숫자는 5천만명 이상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기공이 확산된 것은 그 어떤 한 조직,또는 한개인의 힘이 아니다.
여러 분야의 적극적인 협조와 노력이 밑받침되어있다.어떤 조직이 어떻게 활동하는지를 개략적으로 소개한다.
①기공조직 중국의 대표적 기공조직으로 중국기공과학연구회를 들수 있다.이 연구회는 85년12월 창설된 중국의 1급 학술조직이다. 이 연구회는 5개의 분과위원회로 구성돼 3종의 정기 간행물을 발행하며 스스로 정책및 방침을 정하고 조직간의 협조와 정보교환업무를 도맡고 있다.
그러나 비록 민간차원의 조직이긴해도 조직을 이끄는 구성원들이막강한 정치적 인물들로 군 인출신의 퇴역장군,정계.과학계의 고위급 인사들이다.
초대 이사장이 중국인민해방군 前국방과학판공실 부주임 張震환장군(지난해 작고)이었을 정도다.
이때문에 초창기 여러가지 특이공능(초능력)을 이유로 기공을 백안시하며 비과학적인 미신이라고 반대하는 일부의 주장을 누르고기공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었으며 기공 보급면에서도 적극적일 수 있었다.
현재 중국에서는 예를 들어 어떤 기공사가 스스로 개발한 새로운 공법을 보급하려면 공리평선위원회(功理評選委員會)의 심사를 거쳐 그 평가에 의거해 보급유무가 결정된다.
이 밖에 전국적인 기공조직으로 전국의학기공학회,국제기공과학연합회,중국인체과학학회등이 있다.
그리고 전국 道.市.縣마다 독자적인 지방기공조직이 있기때문에그 수는 대단히 많다.이런 기공조직의 지도부 역시 퇴임한 성장(省長)이나 시장(市長)등 현지의 유력인사들이 맡고 있어 영향력이 크다.
특히 이런 기공조직들은 영리목적이 아니고 「기공을 통한 국민보건향상에 기여한다」라는 공리적(公利的)명분을 스스로 지키고있어 존경을 받는다.
그러나 이밖에 개인의 영리를 위한 기공조직도 많다.그들은 자신들의 공법을 적극적으로 선전해 세력확대를 꾀한다.
②기공간행물 기공보급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 중하나는 기공간행물이다.
현재 중국에서 전국적으로 발행되고 있는 기공전문잡지는 10종이나 된다.
이밖에 소규모 조직에서 발행하는 잡지는 수를 셀 수없다.
그중 「중화기공」은 기공 과학연구방면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기공과 과학」잡지는 기공보급면에 주력하는 등 각각 그 특색이있다. 기공의 단행본도 매우 많이 출판되고 있다.기공학.기공공법.기공치료.기공연구에 대한 것들로 그 종류와 양은 집계가 어려울 정도다.
이같은 추세에 맞춰 기공학 사전도 6종류나 간행되고 있다.
기공에 관한 책의 내용도 초기에는 고문(古文)이 많고 고대 철학적인 용어들을 그대로 인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현대적인 표현으로 바뀌고 또 현대과학적인 해석을 추가하고 있다.
그밖에 기공을 중심내용으로 하는 문학작품도 대량 쏟아져 나오고 있다.왜냐하면 기공을 주제로한 문학작품 대부분이 베스트셀러가 돼 시장성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③기공의 과학적 연구 과학자들이 기공에 관심을 갖게된 것은 78년1월에 발행된 과학학술지인「자연잡지(自然雜誌)」(중국과학원발간)에 처음으로 기공外氣에 대한 학술논문이 발표되면서 부터다. 상해시 원자물리연구소의 顧涵森박사가 기공사 林厚省으로부터방사되는 외기를 과학적으로 분석해 발표한 것이다.
이때부터 전국의 대학에서는 기공학 연구그룹이 조직됐고 정부산하 과학연구기관에서도 앞을 다투어 기공연구가 시작됐다.
기공연구는 기공자체에 관한 연구와 기공 응용분야등 두 가지로나뉘어진다.기공응용분야 연구는 특히 중국과학원과 청화대학 기공연구그룹을 꼽는다.
청화대학은 저명한 기공사 嚴新을 초청,갖가지 임상실험을 통해기공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입증해냈다.
이같은 노력을 통해 기공은 종래의 병치료.건강증진의 테두리를벗어나 공업.농업.군사.체육등의 전반적인 과학분야에 응용됨으로써 기공연구가 한단계 새로운 차원으로 올라섰다.
특히 중국과학원 학부위원 錢學森박사는 초능력과 인체과학방면에대한 많은 논문을 발표했는데 결론적으로 기공에 대한 정의를 내리면서「유상기공학(唯象氣功學)」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유상이란「그렇게 된다는 것은 알지만 그렇게 되는 원리는 모른다」는 뜻이다.
④기공학교의 출현 기공의 치료효과와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사람들의 기공열을 크게 격발시켰다.불과 몇년사이에 단기적인 기공학습회.기공통신강좌등이 전국적으로 우후죽순처럼 등장했다.
그들은 모두 자신들의 공법이 우세함을 선전해 세력확대에 열을올렸다. 이 과정에서 일확천금을 노리는 가짜기공사들도 등장했다.가짜일수록 자신들을 믿도록하기 위해 갖가지 신비한 재주들을 선보였고 그러다보니 그중 상당수는 눈속임도 마다하지 않는 혼탁현상도 빚어졌다.
신뢰도라는 측면에서 등장한 것이 기공학교다.馬王堆기공학교.靑城山인체과학배양학교.寶林기공학교등 일일이 열거 할수 없을 정도다. 이같은 중급기공학교외에 각 대학에서도 기공전문과를 설치하고 있다.
사천성에 설립된 峨眉국제기공대학 같은 경우는 정식으로 국가의인정을 받았을 만큼 규모나 내용면에서 상당수준에 이르고 있다.
⑤기공종류 현재 중국기공의 종류는 얼마나 되는가.
「중국공법백가」라는 책에는 1백5종의 기공이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줄잡아 5백종 이상 될것으로 여겨진다.역사상 등장했던 모든 공법을 다 합하면 수천 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여기에 최근 기공열기의 확산으로 매년 3백개정도 의 새로운 공법이 등장하고있어 정확한 숫자는 더욱 알수 없다.
공법원리에 입각한 종류도 다양하다.공법의 출처에 따라서는 불가(佛家).도가(道家).유가(儒家).무술가등이 있고 수련형태상으로는 動功과 靜功,여기에 의념(意念)의 유무(有無)에 따른 구분도 있다.
수련목적에 따른 구분도 있다.자신의 치료,養生을 목적으로 하는 데는 각종 양생공과 곽림신기공(郭林新氣功:북경의 유명 여류화가였던 郭林이 자신의 항암투병을 통한 연구.실천및 암환자들에대한 지도결과를 토대로 개발한 획기적인 항암공법 들을 말한다.
張明武의 自控氣功은 곽림신기공을 증상별로 재편성한 것이다.시리즈 26회 참조)을 들수있다.이런 공법들은 자신의 건강유지에는매우 유익하지만 外氣를 방사하지 않기때문에 다른사람의 병을 치료할 수는 없다.
외기방사를 목적으로하는 기공종류도 많은데 대부분 참장(站椿:우두커니 설 站과 말뚝 椿의 합성어로 같은 자세로 움직이지않고가만히 서있는 기공법)을 주로하는 기공이다.
이밖에 특수한 기능,예를 들어 龐明이 창안한 지능개발공(知能開發功)이나 사물을 꿰뚫어보는 투시(透視)능력개발기공등 종류가다양하지만 대부분 비전(비傳)이어서 쉽게 일반에게 공개되지 않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