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인재 찾기 쉽지 않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이명박 대통령이 추가 인선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7일 새 여성부 장관 후보자로 변도윤(61)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부회장을 내정한 게 그 시작이다. 청와대 인선팀은 변 후보자를 발표한 데 이어 이날 자진 사퇴로 공석이 된 통일부·환경부 장관 후보자 선정 작업에 돌입했다.

통일부 장관엔 당초 물망에 올랐던 김석우 전 통일원 차관과 남성욱 고려대 교수 등이 거론되지만 “다른 사람이 발탁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는 게 청와대 핵심 관계자들의 얘기다. 실제로 이날 통일문제 전문가들 사이에선 “(청와대 쪽에서)‘호남 출신 대북 전문가를 추천해 달라’는 전화가 계속 온다”는 얘기가 돌았다.

김 전 차관은 충남 논산 출신이고 남 교수는 서울 출생이지만 아버지 고향이 경남 의령이다.

이에 따라 통일부 주변에선 전남 보성 출신의 백학순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과 광주 출신의 전현준 북한연구학회장 겸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원이 새 통일부 장관 후보자로 거론됐다. 하지만 백 위원은 노무현 정부의 통일 정책 주역인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과 밀접한 관계가 걸림돌이란 얘기가 돌고 있다. 또 전 연구원은 새 정부의 통일정책을 맡기기엔 인지도가 너무 낮다는 문제를 제기하는 이들이 적지 않다.

통일부에 이어 여성 몫으로 돼 있는 환경부 장관에 대해서도 적임자를 물색 중이지만 이 대통령 주변의 여성 인재 풀이 워낙 한정돼 인선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여성 인재를 찾는 게 참 쉽지 않다”며 “그래서 고민이 많기 때문에 후임 장관이 반드시 여성이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 때문에 공석이 된 두 자리에 대한 인선은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다른 주머니에 뭘 숨겨둔 상황에서 한 주머니에 있는 것을 버리는 것이 아니지 않으냐”며 “기다려 달라”고 말했다.

당초 이 대통령은 29일 새 정부 각료들이 참석하는 첫 국무회의를 주재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장관 후보들의 잇따른 사퇴로 헌법이 정한 국무회의 정원(15명 이상)인 15명을 채우지 못할 게 분명해지며 이 계획은 자연스럽게 무산됐다. 청와대는 대신 다음달 3일 이 대통령이 첫 국무회의를 주재할 예정이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장관을 맡고 있는 노무현 정부의 국무위원 중 세 명의 위원 자격을 유지시켜 국무회의를 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지명한 새 정부 각료가 12명에 불과한 만큼 나머지 세 자리는 노 정부의 장관들로 메우는 ‘신·구 정부 임시 동거’ 형태로 첫 국무회의를 열겠다는 것이다.

관심 대상인 국정원장과 방송통신위원장 인선도 조만간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장엔 김성호 전 법무부 장관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김 전 장관이 영남 출신이란 점 때문에 호남 출신인 송정호 전 법무부 장관과 경합했지만 27일 김 전 장관 쪽으로 정리되는 분위기다. 신설되는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엔 최시중 전 한국갤럽 회장이 유력한 상황이다.

 채병건·서승욱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