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볕’ 대신 ‘응달’? … 주목받는 남주홍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대북 정책에 ‘남주홍 변수’가 등장했다. 국무위원 후보자로 발표된 남주홍(사진) 경기대 교수는 통일부가 유지될 경우 통일부 장관을 맡을 예정이라고 이명박 당선인 측은 전했다.

그는 지난 10년 진보 정권의 대북 노선과 정반대 입장에 서 있었다. 포용정책 방법론을 비판하고, 북한 인권을 강조했으며, ‘우리 민족끼리’라는 말에 불편해했다. 그런 소신이 반영된다면 새 정부의 대북 정책은 이전과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남 후보자는 보수가 소수던 시절 일관되게 보수 목소리를 냈다. 지금 진보 진영에서 “지나치게 선명하다”고 지적하는 이유다. 그는 서해교전이 발생한 1999년 한 기고에서 “서해교전 때 정부는 금강산 관광을 일시 중단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다음 해엔 “국군포로는 북한의 침략에 대항해 싸우다 잡힌 체제 수호자들”이라며 김대중 정부의 국군포로 대책을 비판했다. “북한 지도부가 ‘남조선의 달러 박스’로 간주하는 게 개성공단”(2004년), “정부는 최악의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해 당당히 할 말을 해야 한다”(2005년)고 주창해 왔다. “‘퍼주기’는 급기야 북한 간부들에게 ‘남조선의 남북협력기금도 우리 예산’이라는 엉뚱한 환상마저 갖게 만들었다”(2007년)고 하는 등 그의 입장은 늘 분명했다. 남이 을(乙)이고, 북이 갑(甲)으로 비쳤던 관계를 뒤바꿔야 한다는 게 그의 소신이다.

남 후보자의 발탁 배경도 지역 안배(전남 순천) 외에 핵 폐기와 북한의 개혁·개방을 목표로 하는 새 정부의 대북 상호주의와 그의 생각이 일치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나온다. 동시에 지난 10년 정권과는 인연이 없는 인사를 전면에 기용, 통일부 내 대북 라인의 전면적 인적 쇄신을 기하려는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일각에선 “북한에도 ‘이제 우리는 달라진다’는 신호를 보낸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한다.

남 후보자는 19일 이명박 당선인과 함께 한 내각 워크숍에서 “지난 10년을 꼭 잃어버린 10년이라고는 보지 않는다. 좋은 경험이자 좋은 반면교사였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제는 정상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좌도 없고 우도 없는 만큼 무엇보다 국익을 생각해 국정을 펼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채병건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