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단서 잡힌 盧후보 불법 모금 창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0면

노무현 대통령의 최측근인 안희정씨가 지난 대선 전 롯데그룹 측으로부터 5억~6억원가량의 불법 자금을 받은 혐의가 추가로 드러났다. 이와 함께 여택수 청와대 제1부속실 행정관도 대선 이후 롯데에서 3억원을 받은 혐의가 드러났으니 이런 측근들을 데리고 있던 대통령이 할 말이 없게 됐다.

검찰이 安씨의 롯데 자금 수수 혐의를 밝혀낸 것은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 대기업 임직원 이름으로 편법 지원된 경우를 제외하면 盧후보 캠프가 5대 그룹에서 받은 뭉칫돈이 처음 밝혀졌기 때문이다. 그동안의 수사 결과는 安씨가 대부분 개인차원에서 '푼돈'을 받았다는 것이었다. 安씨 스스로도 자신이 받은 돈을 '향토장학금'이라고 말할 정도였다. 그러나 롯데 측에서 불법 자금을 받은 사실이 드러남으로써 그가 불법 대선자금 모금의 창구 역할을 하지 않았느냐는 의문을 갖게 한다. 설마 5억원 넘는 돈이 장학금이었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철저한 수사가 필요하다.

安씨가 불법 자금 수수의 창구였다면 그 돈의 종착지가 어디겠는가. 상식적으로 볼 때 당시 대선 후보였던 노무현 대통령일 것이다. 한나라당이 '차떼기'로 받은 불법 자금도 마찬가지다. 그런데도 검찰은 盧대통령과 이회창 전 총재에 대한 조사 유보 가능성을 내비치고 있다. 종착지는 손도 대지 못한 채 창구 노릇을 한 인물들만 단죄한다면 그 수사를 공정하다고 할 수 있겠는가.

4대 그룹이 한나라당과 盧후보 캠프에 제공한 불법 대선자금 규모는 아직 '720억원대 0원'에 머물러 있다. 롯데에서 安씨에게 건넨 자금이 드러났으니 이를 포함하면 5대 그룹이 전달한 불법 자금은 730억원대 5억여원이 되는 셈이다. 이제 수사는 막바지로 접어 들었다. 이대로 끝냈다가는 그나마 회복돼 가던 검찰 신뢰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다. 특히 청와대 행정관이 당선 후 몇억원씩 챙겼다는 사실은 盧정부의 윤리의식을 대변해 주는 사건이다. 盧후보 쪽의 대선자금은 물론 측근들의 비리 수사에 전력을 쏟아 수사 마무리를 제대로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