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백열등 퇴출’ 중 2014년 이후엔 사라질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1879년 토머스 에디슨이 발명한 백열전구는 130년 만에 퇴출 위기에 몰렸다. 에너지 낭비가 심해서다. 60W짜리 백열등은 전기에너지의 95%인 57W를 열로 방출하고 3W만 빛으로 바꾼다. 반면 12W짜리 콤팩트 형광등은 똑같은 3W의 빛을 내보내면서도 열 손실은 9W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지난해 2월 호주 정부는 2010년까지 백열등을 완전히 교체하겠다고 밝혔다. 한 달 뒤 유럽연합(EU) 정상회의에서도 2009년까지 백열등을 퇴출키로 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전문가들은 EU가 백열전구를 모두 콤팩트 형광등으로 바꾸면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매년 9200만t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국 연방 상·하원도 지난해 에너지 관련법을 손질해 2014년까지 백열등을 추방하기로 했고, 캐나다 온타리오주도 동참했다. 온타리오주는 이 조치로 25만 대의 자동차를 줄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2012년 이후에는 시장에서 백열등을 보기가 어려워지고 2014년 이후에는 완전히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별취재팀 =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김현기(도쿄)·전진배(파리) 특파원·천창환·박신홍·이현택 사회부문 기자, 송지영(숙명여대 법학과 3년) 인턴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