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실명등기法案11조에 중대 오류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재경원(財經院)이 26일 입법예고한 부동산 실명등기에 관한 법률(案)의 일부내용에 중대한 오류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쟁점이 되고 있는 부분은 「다른 법률의 규정에 의해 실명등기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사유가 소멸한 때부터 이 법의 규정을 적용한다」고 명시한 법안 제11조(다른 법률과의 관계) 규정. 이 규정에 대해 법조계 일부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내 땅을 샀으나 허가를 받지 못해 원래소유자 명의 그대로 둔 경우」등 제도적으로 실명전환이 불가능한 미등기상태의 부동산 거래행위가 모두 실명제의 그물을 빠져 나가게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金&張법률사무소 한만수(韓萬守)변호사는 『현재의 조항으로는 토지거래허가나 농지매매증명을 받지 못해 소유권 이전등기를 경료하지 못한 경우는 그 법률에 의한 규제가 없어질 때까지 실명전환을 유보해 주는 것으로 볼 수 밖에 없다』고 풀 이하고 있다. 이에대해 재경원 관계자는 『불가측성(不可測性)의 사유,즉 미처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 발생해 등기를 못하게 된 경우등이 해당되는 것이지 애당초 등기가 안되는 줄 알면서 거래한 경우는이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 薰〉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