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극동지역에 중국인 몰린다-이민제한등 통제 고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日本經濟新聞=本社特約]지난 90년이후 러시아인들이 극동지역을 떠나고 있다.지금까지 인구의 5%에 해당하는 약1백만명이 중앙아시아로 이주했다.대신 중국으로부터 상인.노동자.농민들이 러시아동부지역으로 들어오고 있다.
러시아로 이주한 중국인의 수는 최소 30만명에서 최대 2백만명으로 추산된다.
이런 추세가 계속될 경우 중국인은 앞으로 10년안에 중.러국경지역에서 다수세력을 형성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인의 대량이주는 고르바초프가 지난 91년 중국과의 국경개방을 실시하면서부터다.러시아 극동지역에 중국북부로부터 식료품이대거 흘러들어오면서 중국농민이 아예 국경을 넘어와 경작을 시작한 것.러시아정부는 중국의 이같은「평화적 세력확 장」에 대항하기 위해 몇가지 대책을 강구중이다.
우선 가장 보수적인 대책으로 국경관리를 다시 강화하고,불법 중국인 이민들을 강제송환하는 것이다.
둘째는 극동지역에 코사크공동체를 재구축,이들에게 광대한 토지를 주는 방안이다.
셋째는 東시베리아와 극동전역을 미국.일본에 장기임대해 주는 방안이다.여기에는 일본 홋카이도(北海道)와 유라시아대륙을 연결하고 베링해협에 북미와 유라시아대륙을 잇는 해저터널을 건설하는구상이 포함된다.
이 계획에 드는 비용은 1천억~1천5백억달러로 추산되는데 여기서 러시아가 얻을 수 있는 임대수입은 향후 1백년간 3조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마지막으로 중국으로부터의 농업이민을 양성화하되 이민자수를 제한하는 방법이다.
러시아는 현재 앞의 두가지 방안을 택하고 있으나 네번째가 보다 현실적인 대안으로 보인다.
여기에는 국경무역이 통제불능의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이런 상황에서 러시아당국의 비자취득규제나 무역제한은 러시아국경지역의 경제를 악화시킬 뿐이다.
지난해 대흉작이후 국경통제를 비웃듯이 새로운 형태의 국경무역이 나타났다.국경을 이루는 아무르.우수리강이 얼어붙으면서 강심(江心)을 사이에 두고「국민무역지대」라는 세계최대의 빙판시장이세워지기 시작한 것.
이런식으로 국경이 무너지면 앞으로 20~30년내에「중국자치공화국」이 러시아연방의 일원으로 극동지역에 출현할지도 모른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